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벽에 달라붙듯 착륙하는 드론

등록 2017-09-03 15:45수정 2017-09-03 22:08

평평한 바닥이 아닌 수직 벽에 착륙할 수 있는 드론이 개발됐다. 캐나다 퀘벡의 셔브룩대 연구진은 최근 새들의 이착륙 방식을 본뜬 드론 ‘S-MAD’(사진)를 개발해 선보였다. 이 드론은 동체 아래쪽에 장착한 척추골 모양의 작은 발을 이용해 새들이 걸터앉듯 벽에 착륙한다. 이 독특한 발은 여러개의 작은 바늘들로 이뤄져 있어 울퉁불퉁한 표면에 달라붙을 수 있다. 착륙 지점에 가까워지면 동체 앞쪽의 프로펠러로 부양력을 유지한 채 거리 측정 센서가 작동하면서 비행 속도와 기체 방향을 조절해 벽에 충돌하지 않고 착륙할 수 있게 해준다.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일반 드론과 달리 글라이더 방식으로 비행한 뒤 착륙 때에만 프로펠러를 작동시킨다.

연구진은 지진처럼 갈라진 틈이 많은 지역이나 건물 등을 장시간 모니터링할 때 이 드론이 유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드론은 배터리 용량의 제약으로 장시간 공중에 체류하면서 모니터링 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곽노필 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