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 망원경이 보내온 신호
구글 머신러닝으로 학습시켜
2545광년 ‘케플러-90i’ 발견
‘케플러-90’을 공전하는 8번째 행성
태양계와 같은 수의 항성계 발견 의미
이번 발견으로 케플러-90은 태양계와 같은 수의 행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나사 제공
인공지능이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일을 해냈다. 앞으로 우주 탐사에서도 인공지능의 역할이 크게 넓어질 전망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케플러(Kepler) 우주망원경이 보내온 자료를 구글 머신러닝으로 분석해 ‘케플러-90'(Kepler-90)이라는 별 주위에서 8번째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발견은 우리 태양계 행성과 같은 수의 행성을 가진 외계 태양계를 발견했다는 데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에 발견된 행성엔 ‘케플러-90아이’(Kepler-90i)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지구에서 약 254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이 행성은 ‘케플러-90' 항성 주변을 14.4일에 한 번씩 도는 뜨거운 암석 행성이다.
나사는 케플러가 보내온 관측 데이터를 구글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습시켜 이 행성의 존재를 찾아냈다. 나사의 천체물리학부문 책임자인 폴 허츠(Paul Hertz) 박사는 “우리가 예상했던 대로 케플러 데이터에는 밝혀지길 기다리는 흥미로운 것들이 숨어 있었다"며 "이번 발견은 케플러 데이터가 앞으로 수년간 혁신적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보물이 될 것임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행성 수가 똑같은 태양계와 ‘케플러-90’ 항성계의 비교. 행성의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케플러-90은 바깥으로 갈수록 행성이 큰 것이 특징이다. 나사 제공
연구진은 케플러에 기록된 빛 신호를 통해 외계행성을 판별해내는 방법을 컴퓨터에 학습시켰다. 예컨대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갈 때는 빛의 밝기에 변화가 생기는 데 이를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게 했다. 이전의 발견 데이터들을 학습한 구글 인공신경망은 마침내 용(드라코) 별자리에서 이전에 놓쳤던, ‘케플러-90’을 선회하는 8번째 행성의 아주 약한 신호를 찾아냈다. 인공신경망이 우주에서의 아주 약한 신호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한 것이다.
나사는 케플러-90i는 지구보다 약 30% 더 크며, 항성에 너무 가까워 평균 표면온도는 태양계의 수성과 비슷할 정도로 뜨거운 것으로 추정했다. 항성의 가장 바깥을 도는 ‘케플러-90h’는 태양과 지구 정도의 거리를 두고 공전하고 있다. 연구진은 “케플러-90 항성계는 태양계의 미니 버전과 같다. 안쪽엔 작은 행성이, 바깥쪽엔 큰 행성이 있지만 모든 행성은 태양계 시스템보다 항성에 훨씬 가까이에 있다”라고 밝혔다
케플러가 보내온 4년간의 데이터에는 3만5000개의 신호가 들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잠재적인 외계행성 후보들이다. 나사는 인공신경망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행성 신호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