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임상시험 근거 되는 동물연구 데이터 부실 가능성”

등록 2018-04-10 16:46

독일 109건 임상시험 신청 자료 분석 결과
다수 ‘긍정 결과만 보고’ ‘미발표 연구 인용’
안전한 임상시험 위한 심사 기준 개선 필요
인간 대상 신약 임상시험의 안전성과 효능을 미리 평가하는 데 근거가 되는 전임상 동물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독일 하노버의대 제공, 픽사베이
인간 대상 신약 임상시험의 안전성과 효능을 미리 평가하는 데 근거가 되는 전임상 동물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독일 하노버의대 제공, 픽사베이
‘신약 임상시험 심사는 제대로 이뤄지고 있나?’

독일의 한 연구진이 이런 물음을 품고서 신약 임상시험 허가 신청을 할 때 심사용으로 제출하는 ‘임상시험자 자료집(Investigator Brochure)’을 조사해보니, 매우 많은 경우에 자료집에 실린 정보와 근거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임상시험자 자료집은 임상시험의 안전성과 필요성을 입증하는 관련 정보와 전임상 실험결과를 담은 자료를 말한다.

독일 하노버의대 연구진은 캐나다 맥길대학 연구진과 함께 독일 임상시험 심사기관들에서 임상시험 허용 판정을 받은 임상시험자 자료집 109건(2010~2016년)에 실린 708건의 후보약물 효능 연구 사례를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생물학저널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밝혔다(논문: “임상시험자 자료집에 나타난 전임상 효능 연구들: 이를 근거로 위험-혜택 평가를 할 수 있을까?”)

이들의 조사결과를 보면, 임상시험 신청 자료집에서는 특히 동물실험 결과들에 관한 정보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임상 동물실험은 신약을 사람에게 적용하기 전에 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동물에 행해지는 실험을 말한다. 연구진은 자료집에 담긴 동물 연구 사례 중에서 89%가 동료심사를 받고 정식 출판된 연구 보고를 인용하지 않은 채 데이터를 제시해, 심사자가 제출된 데이터가 제3자에 의해 평가를 받았는지를 알기는 어려웠다고 밝혔다. 또한 5% 미만이 실험의 편향 또는 선입견을 줄이기 위해 쓰이는 무작위나 맹검법 같은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전임상 효능 연구 사례 중 6%만이 ‘효과 없음’의 결과를 보고했으며, 82%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전임상 효능 연구 사례들만을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보도자료에서 “우리 분석결과는 임상시험자 자료집 대다수가 임상시험을 뒷받침하는 증거의 강점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인간 대상의 초기 임상 시험의 위험-혜택 평가에 관여하는 당국 등이 이런 현 상황을 왜 용인하는 모르겠다”며 임상시험 심사 기준의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연구진은 전임상 동물 연구가 제대로 제시되지 않는 이유와 관련해, 그것이 연구 기밀 때문일 수도 있고 복잡한 결과를 간명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기업의 이해관계 때문에 근거가 부족하더라도 임상시험을 추진하려 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이 조사결과를 자세히 보도하면서 한 연구자의 견해를 인용해 “이번 연구는 동물 연구의 많은 연구결과가 왜 인간 대상 임상시험에서는 달라지는지를 설명해준다”면서 “전임상 연구의 설계, 수행, 보고 과정을 개선하는 일은 서둘러야 하는 최우선 과제”라고 전했다.

논문 초록 (우리말 번역)

인간 보호 정책을 위해 임상시험 개시 전에 적절한 위험-혜택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1상과 2상 임상시험의 경우에, 그런 판단을 하는 데 필요한 증거는 대체로 전임상 효능 연구에서 얻어진다. 우리 연구진은 임상시험자 자료집(Investigator Brochure; IB)에 담긴 전임상 효능 연구의 내용과 성격을 평가하기 위해서, 1상과 2상 임상시험 허가를 받기 위해 윤리심사용으로 제출된 응모서류(IB)에 대해 체계적인 조사를 수행했다. 2010~2016년 독일 의대 학과(German Medical Faculties)에 기반을 둔 기관윤리위원회(IRB) 3곳에서 받은 최근 승인 109건의 임상시험자 자료집을 샘플로 이용하여, 우리 연구진은 708건의 고유한 전임상 효능 연구 사례를 찾아냈다. 그런 다음에, 유효성 위협요인(validity threat) 대처에 도움이 되는 요소들을 자료집들이 어떻게 보고하고 있는지, 자료집이 발표된 보고서를 인용하는지, 그 연구결과의 방향은 어떠한지를 살피면서, 전임상 효능 연구 사례를 모두 평가했다. 모두 합해 109건 자료집은 708건의 전임상 효능 연구를 보고했다. 모든 전임상 효능 연구 사례 중 5% 미만이 무작위, 표본 크기 계산, 맹검(blinding outcome assessment)과 같은, 유효성 위협요인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요소들을 담고 있었다. 대부분 전임상 효능 연구(89%)의 경우에, 발표된 연구보고 인용이 없었다. 전체 전임상 효능 연구 사례 중 6%만이 ‘효과 없음’의 결과를 보고했다. 자료집 중 대다수(82%)에서, 모든 전임상 효능 연구 사례들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는 것으로 서술됐다. 우리 연구의 결과는, 현재 대부분의 1, 2상 임상시험용 자료집으로는 임상시험 심사자들이 전임상 연구 근거의 강점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려울 것임을 보여준다. 효과 없음을 보여주는 전임상 효능 연구 보고가 매우 드물다는 점은 설계/보고의 잠재적 편향에 관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전임상 효능 연구의 설계/보고의 미흡함으로 인해, 1, 2상 임상시험에 대한 윤리심사에서 위험-혜택 평가는 저해된다.

[PLoS Biology, http://journals.plos.org/plosbiology/article?id=10.1371/journal.pbio.2004879]

오철우 선임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100년 전에 상상한 2025년…얼마나 현실이 됐을까 1.

100년 전에 상상한 2025년…얼마나 현실이 됐을까

머스크와 베이조스, 같은 날 신형 로켓 발사 ‘자존심 대결’ 2.

머스크와 베이조스, 같은 날 신형 로켓 발사 ‘자존심 대결’

지구와 태양이 가장 가까워지는 시간…오늘 밤 10시28분 3.

지구와 태양이 가장 가까워지는 시간…오늘 밤 10시28분

스페이스엑스 맞서는 베이조스의 야심작 ‘뉴글렌’…이륙 준비 끝 4.

스페이스엑스 맞서는 베이조스의 야심작 ‘뉴글렌’…이륙 준비 끝

태양 극대기와 만난 오로라…“지난 500년 중 가장 강렬” 5.

태양 극대기와 만난 오로라…“지난 500년 중 가장 강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