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를 주도한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의 르네 바이아르전 교수. L. Brian Stauffer 제공
아기도 존경받는 리더와 힘으로 지배하는 폭군을 구분할 줄 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심리학과 르네 바이아르전(Renee Baillargeon) 교수 연구진은 21개월 된 아기를 대상으로 주시 행동을 관찰해 이런 결론을 얻어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3일(미국 현지시각) 발표했다.
“기대 위반(violation-of-expectation)”은 아기의 심리를 측정하는 주요 방법이다. 아기들은 자신의 기대와 어긋나는 일이 벌어졌을 때 대상을 평소보다 더 오래 주시하는 행동을 보인다. 심리학자는 이를 통해 아기가 심리적으로 어떤 일을 당연하게 여기는지 알아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아기들이 대상마다 지닌 힘이 다르다는 점을 구분한다는 사실은 이미 앞선 연구에서 드러난 바 있다. 바이아르전 교수는 “예를 들어, 큰 캐릭터가 작은 캐릭터에게 쩔쩔매면 오래 주시한다. 또 상대를 늘 이기던 캐릭터가 갑자기 지는 경우에도 오래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힘의 기반이 다를 때 이를 구분하는지는 연구된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이 ‘선군’과 ‘폭군’에 대한 아이들의 생각을 관찰하기 위해 만든 만화 애니메이션의 모습. 르네 바이아르전(Renee Baillargeon) 교수 제공
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리노이대 연구진은 일련의 만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애니메이션은 두 종류의 리더를 그렸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선 리더 캐릭터가 나타나자 셋의 추종자 캐릭터들이 인사를 하고 가지고 놀던 공을 스스로 주었다. 다른 시나리오에선 리더가 막대기로 셋을 때리자 가지고 놀던 공을 주는 모습이 그려졌다.
다음 단계에서 두 리더는 추종자들에게 “잘 시간이다”라며 집으로 들어가도록 지시했다. 세 추종자는 명령에 따라 집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리더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고 나자 명령을 어기고 밖으로 나오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진은 해당 애니메이션을 각각 대학생에게 보여주고 이야기가 의도대로 잘 전달된다는 점을 먼저 확인했다.
이를 아기에게 보여주고 두 종류의 리더의 지시를 추종자들이 위반했을 때 어떤 주시 행동을 보이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폭군’의 명령을 어겼을 때 아이들은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선군’의 명령을 어겼을 때는 오래 주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와 어긋난다고 판단한 것이다.
바이아르전 교수는 “우리의 연구 결과는 2살 된 어린이도 이미 리더와 약자를 괴롭히는 이를 서로 구분할 줄 안다는 증거”라며 “아기도 리더라면 주변에 없더라도 따라야 하지만 폭군이라면 주위에 있을 때만 따르면 된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