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수중 미세플라스틱의 생물 유입 새 경로 ‘모기’

등록 2018-09-19 16:36수정 2018-09-19 17:21

유충 때 물속에서 섭취한 플라스틱
성충이 되어도 계속 유지 첫 확인
이런 곤충 잡아먹는 동물에 영향
모기 유충.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모기 유충.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가 버린 플라스틱 폐기물은 지름 5㎜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먹이 피라미드를 통해 다시 인간의 몸으로 돌아온다. 이렇게 몸에 축적되는 플라스틱은 건강에 큰 위협이 된다. 생명체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보통 바다로부터 수중 생물을 통해 다른 생물로 번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새 유입 경로가 발견됐다. 바로 ‘모기’를 통한 육상 생물로의 직접 유입이다.

영국 리딩 대학교의 어맨다 캘러헌(Amanda Callaghan) 교수 연구진은 유충 때 물속에서 사는 모기와 같은 벌레를 통해서도 미세플라스틱이 생명체로 유입된다는 사실을 발견해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19일 발표했다.

캘러헌 교수 연구진은 150마리의 수중 모기 유충을 여러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담긴 물속에 넣었다. 그리고 무작위로 뽑힌 15마리의 유충과 역시 무작위로 뽑힌 15마리의 모기 성충의 몸 안에서 플라스틱이 검출되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30마리 모두에게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이다. 유충의 경우 평균 3000개의 2㎛(마이크로미터) 크기 플라스틱 알갱이가 검출됐다. 성충이 되어 날아다니면서 섭취를 멈추고 플라스틱을 몸 밖으로 배출하지만 그래도 평균 40개 알갱이는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모기뿐 아니라 유충 때 수중에서 사는 잠자리와 같은 유사한 곤충은 모두 미세플라스틱의 새로운 전달자가 될 수 있다. 새나 박쥐처럼 이런 곤충을 먹고 사는 육상 동물을 통한 새로운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경로가 발견된 셈이다. 캘러헌 교수는 “어떤 동물이건 이런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경우 수중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공정경쟁 허울 안에서 무너지는 공교육 1.

공정경쟁 허울 안에서 무너지는 공교육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6억년 전에 계획이 있었네 2.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6억년 전에 계획이 있었네

4살 된 세계 첫 유전자편집 아기…이들을 계속 ‘관찰’해야 하나? 3.

4살 된 세계 첫 유전자편집 아기…이들을 계속 ‘관찰’해야 하나?

찬란한 죽음 앞둔 적색초거성…최후의 가스 내뿜는 장면 ‘첫 촬영’ 4.

찬란한 죽음 앞둔 적색초거성…최후의 가스 내뿜는 장면 ‘첫 촬영’

혈액형 구분 없이 수혈한다?-인공혈액 5.

혈액형 구분 없이 수혈한다?-인공혈액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