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6일 관측한 부분일식.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26일 오후 전국이 흐릴 것으로 예상돼 오후 2시께 예정된 부분일식을 보기 쉽지 않다. 올해의 아쉬움은 내년 예정된 세번의 반영월식과 한번의 부분일식에 대한 기대로 대신해야 할 듯싶다.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은 26일 ‘2020년 주목할 천문현상’을 발표해 “내년 1월11일 반영월식을 시작으로 모두 세번의 반영월식과 한번의 부분일식이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반영월식은 달의 일부가 지구의 반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으로, 1월11일과 6월6일, 11월30일 세차례 관측할 수 있다. 또 6월21일에는 달에 의해 태양의 일부가 가려지는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2020년 1월11일 반영월식 모식도.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1월11일 반영월식은 새벽 2시5분 42초에 시작돼 4시10분께 최대에 이르렀다 오전 6시14분 24초에 끝난다. 6월6일 반영월식도 비슷한 새벽 2시43분께 시작되지만 달이 일찍 져 종료시점은 관측할 수 없다. 마지막 11월30일 반영월식은 애초 달이 뜨는 오후 5시13분부터 볼 수 있고 약 30분 뒤 절정에 이르렀다 저녁 9시 못 미쳐 끝난다.
내년에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지는 일식은 두 차례 일어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6월 일어나는 금환일식(달이 태양의 가장자리만 남기고 가린 상태)을 부분일식으로만 볼 수 있고, 12월 개기일식(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린 상태)은 아예 관측할 수 없다. 6월21일 부분일식은 서울 기준 오후 3시53분 4초에 시작해 5시2분 27초에 최대에 이르렀다 저녁 6시4분 18초에 끝난다.
2020년 6월21일 부분일식 모식도.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12월14~15일 개기일식은 태평양 남부와 남아메리카 남부, 남극 일부, 아프리카 남서 지역에서만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시기는 2035년 9월2일 오전 9시40분께로 그나마 북한 평양 지역과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천문연은 또 내년에 가장 큰 보름달은 4월8일 달이 지기 직전인 오후 6시24분께 볼 수 있고, 10월31일 자정 무렵의 보름달이 가장 작다고 밝혔다.
내년에도 3대 유성우인 1월의 사분의자리 유성우, 8월의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12월의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여느해처럼 볼 수 있다. 천문연은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1월4일 밤과 5일 새벽 사이에 많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음은 시기별 주요 천문현상이다.
◇ 1월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
국제유성기구(IMO)는 사분의자리 유성우 극대시간을 1월4일 오후 5시20분으로 예고했다. 이날 달이 5일 자정을 넘어 새벽 2시께 지기 때문에 달빛의 영향을 덜 받는 새벽 시간대 관측이 더 유리하다. 아주 이상적인 하늘의 조건에서 시간당 120개 가량의 유성을 볼 수 있다.
◇ 1월11일 반영월식
2020년에는 4번의 반영월식이 있으며, 1월, 6월, 11월 반영월식은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고, 7월 반영월식은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다. 새해 처음 선보이는 반영월식은 1월11일 새벽 2시5분 42초에 시작되며 4시10분에 최대에 이르렀다 6시14분 24초에 종료된다.
◇ 3월20일 화성과 목성 근접
3월20일 새벽 화성과 목성이 가까워진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근접시각은 저녁 7시24분이나 우리나라 밤하늘에서는 새벽 5시30분 이후부터 비교적 잘 관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18일 새벽에는 달과 화성, 19일 새벽에는 달과 목성 그리고 토성이 근접한다. 22일 해 뜨기 전 오전 6시 무렵에는 달과 수성이 가까워진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 4월8일 올해 가장 큰 보름달
올해 가장 큰 달은 4월8일 월몰(오후 6시24분) 직전 달이다. 달이 더 크게 보이는 원리는 망(望)인 동시에 달이 근지점을 통과해 달과 지구의 거리가 최소가 되기 때문이다.
◇ 6월6일 반영월식
6월6일 새벽에 있는 반영월식은 새벽 2시43분 24초에 시작해 4시25분 6초에 절정에 이른다. 이날 달은 오전 5시22분 36초에 지므로 종료시점은 관측할 수 없다.
◇ 6월21일 부분일식
2020년에는 2번의 일식이 있다. 6월21일 금환일식은 우리나라에서 부분일식으로 볼 수 있고, 12월 개기일식은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없다. 6월21일 부분일식은 서울 기준 오후 3시53분 4초에 시작되며, 오후 5시2분 27초에 최대, 6시4분 18초에 끝이 난다. 최대식분은 0.55이다. 이 일식은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 유럽 남동부, 아시아, 미크로네시아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 7월14일, 21일 목성과 토성의 충
태양-지구-행성의 순서로 위치한 때를 행성이 충의 위치에 있다고 한다. 충일 때 그 행성이 지구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밝게 빛나 관측의 최적기라 할 수 있다. 7월14일은 목성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날이고, 21일은 토성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날이다. 소형 굴절망원경으로도 200배 이상의 배율이면 목성의 띠(belt)와 토성의 고리(ring) 그리고 카시니간극을 밤새도록 선명하게 볼 수 있다. 각 행성들의 위성도 관측할 수 있다.
◇ 8월12일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극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109P/스위프트-터틀(Swift -Tuttle)’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일어난다. 극대시간인 밤 10시께에는 달이 뜨지 않아 관측하기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
◇ 보름달 두번 뜨는 10월의 마지막날 ‘블루문’
2020년 한가위(10월1일·목요일) 보름달은 서울 기준 오후 6시20분에 뜬다. 이 달은 2일 0시20분에 가장 높이 뜨고 가장 둥근 달(망)은 오전 6시5분에 볼 수 있다. 10월의 마지막 날인 31일에도 다시 한 번 더 보름달을 볼 수 있다. 밤 11시49분에 가장 둥글어지는 이 달(망)은 2020년 가장 작은 보름달이기도 하다. 양력으로 한 달 안에 보름달이 두 번 뜨면 서양에서는 두번째달을 블루문이라 일컫는다.
◇ 11월30일 반영월식
반영월식은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통과하면서 발생해 달이 약간 어두워지는 정도에 그친다. 이번 반영월식은 오후 4시30분 시작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오후 5시13분 월출 때 반영월식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뜨게 된다. 오후 5시42분 54초에 최대에 이르고 밤 8시55분 48초에 종료된다.
◇ 12월14~15일 개기일식(국내 관측 불가)
12월14일부터 15일에 있는 개기일식은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고 태평양 남부, 남아메리카 남부, 남극 일부 지역과 아프리카 남서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한국시각으로 14일 오후 11시32분 48초에 시작해 15일 오전 1시18분 12초에 자오선, 15일 오전 2시54분 6초에 종료한다.
◇ 12월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
소행성 3200페톤(3200Phaethon)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유성우이다.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일인 14일은 그믐이기에 날씨만 좋다면 관측에 최적일이다.
◇ 12월21일 목성과 토성 대결합
일몰(오후 5시17분) 직후 서쪽에서는 목성과 토성이 0.1도로 근접한다. 이 둘은 너무 가까워서 마치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이 정도의 대결합은 20년 만이다. 다만 일몰 직후 서쪽에서 관측되므로 세심한 관측이 요구된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