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꿀벌은 두 가지 방식으로 꿀을 섭취한다

등록 2020-08-16 15:39수정 2020-08-17 10:23

끈적끈적한 꿀은 국자처럼 떠 먹고
묽은 꿀은 진공청소기처럼 빨아들여
꿀벌은 꿀의 점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꿀을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픽사베이
꿀벌은 꿀의 점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꿀을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픽사베이

꿀벌의 혀에는 약 1만개의 미세한 강모(억센털)가 나 있다. 꿀을 먹을 땐 이 혀의 털들을 곧추 세운 채 꿀에 넣었다 뺀다. 털 사이에 꿀을 담아 입속으로 집어넣는 방식이다. 혀가 일종의 국자 역할을 하는 셈이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꿀벌이 이 방식으로만 꿀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았다.

그런데 중국 광저우 중산대 연구자들이 중심이 된 국제연구진이 초고속 카메라로 꿀벌을 촬영한 결과, 어떤 때는 혀를 꿀 속에 밀어넣은 뒤 진공청소기처럼 꿀을 빨아들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관찰 결과 점성이 낮은 꿀을 마실 때 이런 방법을 쓰는 것으로 드러났다. 꿀벌은 꿀의 점성에 따라 이 두 가지 방법을 번갈아 사용했다.

위 사진은 설탕 농도 10%인 꿀을 먹을 때로 혀를 꿀 속에 박은 채 빨아들이는 모습이다. 아래 사진은 30% 꿀을 먹을 때로 털을 세운 채 혀를 꿀 속에 넣었다 빼는 모습이다. 바이올로지 레터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_______
농도 30% 기준으로 섭취 방법 달라져

미국 조지아공대의 데이비드 후 교수는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우리는 곤충의 입이 빨대, 포크, 숟가락 같은 주방 서랍 속의 도구처럼 한 가지 용도만 갖고 있는 걸로 생각했다"며 "그러나 이번 연구는 꿀벌의 혀가 스위스의 군용 칼처럼 꿀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꿀을 마신다는 걸 보여줬다"고 말했다.

연구진이 인공꿀로 실험한 결과, 설탕 농도가 30% 미만일 땐 빨아들이기(석션)을 더 사용했고 30% 이상일 땐 떠먹기 방법을 주로 사용했다. 예컨대 농도가 50%인 꿀은 떠먹는 비율이 87.5%였던 반면, 농도가 10%인 꿀은 빨아들이는 비율이 70%였다. 농도가 10%인 것과 50%인 것을 번갈아 준 결과, 농도가 달라지면 그에 맞춰 흡입 방식도 바꾸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 8월호에 실렸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커피 애호가 몸엔 이 박테리아 8배 많아…카페인 때문은 아니다 1.

커피 애호가 몸엔 이 박테리아 8배 많아…카페인 때문은 아니다

초속 1600km 중성자별이 그린 ‘기타 성운’ 2.

초속 1600km 중성자별이 그린 ‘기타 성운’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3.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지구는 진짜로 우리의 유일한 우주선이다 [.txt] 4.

지구는 진짜로 우리의 유일한 우주선이다 [.txt]

100년마다 온다는 태양 슈퍼플레어…다음은 언제? 5.

100년마다 온다는 태양 슈퍼플레어…다음은 언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