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단장).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56·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단장)가 노벨상 예측 적중률로 유명한 정보업체의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 명단에 포함됐다. 한국인이 이 명단에 포함되기는 세번째이다.
글로벌 정보서비스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23일 올해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피인용 우수 연구자) 24명을 발표하면서, 현택환 교수를 노벨화학상 후보의 한명으로 뽑았다. 현 교수는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승온법’을 개발해 나노입자의 응용성을 확대한 공로로 선정됐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해마다 물리·화학·생리의학·경제학 분야에서 연구 논문의 피인용 빈도가 상위 0.01% 이내이며 해당 분야에 혁신적 공헌을 해온 연구자들을 노벨상 수상이 유력한 후보자로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선정된 연구자 가운데 54명이 실제로 노벨상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29명은 2년 안에 노벨상을 수상했다. 한국인이 명단에 이름을 올린 건 2014년 유룡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카이스트 교수)과 2017년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에 이어 세번째다.
현택환 교수는 20년 넘게 나노과학 분야를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으로, 지금까지 발표한 논문만 400편 이상이다. 이 가운데 7편은 1천회 이상 인용됐는데, 화학 분야에서 천번 넘게 인용된 논문 수는 전체의 0.025%에 불과하다. 현 교수는 “서울대 교수로 임용될 당시 미국 박사과정에서 연구해왔던 분야가 아닌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자는 결심을 했고, 당시 떠오르던 나노과학 분야 연구에 뛰어들었다”고 말했다.
현 교수가 후보에 선정된 것은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할 수 있는 표준 합성법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나노물질을 합성하면 입자 크기가 제멋대로 다르게 나와 필요한 크기의 입자를 고르는 공정이 필요했다. 현 교수는 실온에서 서서히 가열하는 ‘승온법’이라는 방법으로 바로 균일한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 논문은 2001년 <미국화학회지(JACS)>에 게재됐으며, 현재까지 1660회 인용됐다.
현 교수는 승온법의 산업적 응용을 위한 원천기술도 개발해 현재 세계 실험실뿐만 아니라 화학공장에서도 표준 나노입자 합성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는 2012년부터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