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음성군 삼성면 상곡리 농협중앙회 음성축산물공판장. <한겨레> 자료사진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3일 가축분뇨 발생량과 유기물, 질소, 잔류항생제 등 3개 하천 수질오염인자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날 가축분뇨 실태조사 평가방법론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한 ‘2021년 가축 밀집 사육 지역 하천 및 지하수 수질 분석’ 결과, 가축분뇨에서 유래한 유기물질인 총유기탄소(TOC), 총질소, 잔류항생제가 하천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는 가축 밀집 사육 지역인 경기 안성·용인시 청미천 유역과 충남 홍성군 광천천 유역에서 지난해 1~12월에 걸쳐 진행했다.
조사대상 유역 내 하천 수질은 지하수 수질보다 가축분뇨와 상관성이 높았다. 특히 잔류항생제는 가축분뇨로 만든 액비(액체 상태의 비료) 살포량이 많을수록 암피실린 등 21개 항생제 누적 농도가 하천에서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국내 가축분뇨 발생량은 1980년대 이후 축산물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함께 늘어나 하천 수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 환경부 ‘가축분뇨 처리 통계’ 등을 살펴보면, 2019년 가축 사육두수는 2억9199만6천 마리로 1992년(3717만5천 마리)보다 약 685% 증가했다. 연간 가축분뇨 발생량은 2610만8천t에서 5592만5천t으로 약 114% 늘었다. 2019년 가축분뇨 발생량은 전체 하·폐수 발생량의 약 0.7%에 불과했지만, 수질오염부하량(오수·폐수 중 포함된 오염물질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은 총질소(TN) 27.5%, 총인(TP) 39.6%를 차지하는 등 영향이 컸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23년까지 가축 밀집 사육 지역을 대상으로 가축분뇨 등과 상관성이 높은 잔류항생제 및 질산성질소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해 오염원 기여율 평가 방법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