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토젠 미생물 5종(가칭 AC1~5).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온실가스를 흡수해 아세트산을 만드는 미생물 5종이 발견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16일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대사물질로 아세트산을 만드는 ‘아세토젠’ 혐기성 미생물 5종을 발견하고 이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아세토젠 미생물 5종은 가칭 AC1~AC5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탄소 자원화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카이스트 및 원광대 연구진과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국내 하천과 저수지 등에서 아세토젠 미생물 5종을 찾아내 이들이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아세트산을 얼마만큼 생산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AC1는 대표적인 아세토젠 미생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융달리’와 유사한 아세트산 생산량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에 확보한 아세토젠 미생물 5종에 대한 유전체를 분석해 게놈지도를 완성하고, 유전체 정보를 국내 산업계 및 학계에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현재 세계적으로 유전체가 해독된 아세토젠 미생물은 16종에 불과해 이번에 발견한 미생물 5종의 유전체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아세트산은 조미료 및 유기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데, 아세토젠 미생물에서 나온 아세트산을 응용해 화학연료를 생산할 수 있어 산업적 잠재력이 높다. 특히 아세트산을 생체촉매로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바이오에탄올과 같은 화학연료로 만드는 기술의 핵심 기반이 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미생물을 활용한 온실가스 저감 청정에너지 개발 등 녹색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