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발전소 보호 등에 산불 진화 역량이 분산돼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에서 발생한 산불 대형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나왔다.
녹색연합은 19일 “산불에 취약한 강원·경북지역에 밀집된 대형 발전소와 송전탑이 산불 재난 위험을 가중하고 있다”며 “산지 내 에너지시설에 대한 산불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녹색연합은 “산불 취약지에 있는 에너지시설은 진화 역량을 분산시키고 대규모 정전 및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시설이지만 산불에 대한 아무런 대비책 없이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녹색연합은 송전선로와 발전소 시설이 지난 3월 발생한 울진·삼척 산불 진화에 걸림돌이 됐다고 설명했다. 녹색연합은 “지난 3월4일 경북 울진군 두천리에서 시작된 산불은 한울핵발전소와 삼척 엘엔지(LNG) 기지 인근까지 번졌는데, 이날 배치된 소방차 112대 중 40여대가 한울핵발전소와 엘엔지 기지에 배치됐고 산림청에서 동원한 진화 장비 대부분이 에너지시설 방어에 투입됐다”고 했다. 녹색연합은 “초기 진화 역량이 에너지시설 보호에 집중되면서 주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지 못했고 결국 산불이 대형화됐다”고 지적했다.
녹색연합은 “한울핵발전소 주변 산지는 국가보호시설 인근 지역이자 침엽수림이 분포해 산불 취약위험지수 A, B 등급에 해당하는 산불 취약지”라며 “한울핵발전소는 이미 2000년 4월 발생한 동해안산불로 송전선로가 차단되면서 비상정지 사고를 겪은 바 있다. 이후 핵발전소와 송전선로에 자체적인 산불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여러 차례 지적받았지만 한국수력원자력과 산업부는 별다른 대책 마련 없이 20년간 발전소를 운영했다”고 비판했다.
녹색연합은 이어 “송전선로는 소방헬기 진입을 방해하며 산불 진화를 더디게 만들었다”며 “산불 발생 3시간 만에 한울핵발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 4개 중 3개 노선이 송전불능 상태에 빠졌고, 한울-신영주 선로까지 기능을 상실했다면 전국단위의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뻔했다”고 했다. 녹색연합은 “송전선로는 산불 진화를 방해하고 송전불능 상태에 빠지면 2차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시설이지만 이에 대한 아무런 사전환경검토나 대비책 없이 운영되고 있다”며 한국전력 전력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산지전용허가에서 송전선로의 산불 위험성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녹색연합은 정부가 동해안-신가평 500㎸ 송전선로 건설 사업을 추진하는 데 대해 “침엽수 밀집지역 한가운데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것은 이 지역 산불 진화를 포기하고 주민들과 송전선로를 산불에 무방비로 노출시키는 것과 다름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녹색연합은 “에너지시설 부지 선정 시 산불에 취약한 침엽수의 밀집도와 경급을 고려해 중경목 이상 침엽수의 밀도가 높은 지역은 에너지시설 건설을 회피해야 한다. 또 주변부 산불 취약지 진화 동선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부지를 선정하고, 필요한 구간은 지중화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