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패널이 지붕에 설치된 장난감 집.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시민 10명 중 8명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가정용 태양광 설치에 동참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는 보조금이 없더라도 가정용 태양광을 설치하겠다고 답했다.
탈석탄을 촉구하는 기후·시민단체 네트워크인 ‘석탄을 넘어서’는 여론조사회사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월 5∼13일 만18살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패널 조사를 실시한 ‘기후변화 및 에너지 관련 인식조사’ 결과를 17일 공개했다.(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2%포인트)
서울시민 96.2%(매우 심각하다 58.6%, 다소 심각하다 37.6%)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하지 않다’(별로 심각하지 않다 2.5%, 전혀 심각하지 않다 0.6%)는 3.1%, ‘모르겠다는’ 0.7%로 조사됐다. 기후위기가 수반하는 문제로 심각하다고 보는 부분은 ‘이상 기후 및 자연재해 등의 기후 문제(67.5%)’, ‘작물 생산력 감소 등의 식량 안보 문제(15.2%)’, ‘재난으로 인한 주거 환경 변화 등의 주거 문제(10.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 주체의 경우 실제와는 인식이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민은 온실가스 주요 배출 주체로 ‘제조업, 건설업 등의 산업 부문(47.8%)’, ‘자동차 사용, 항공기 운항 등의 수송 부문(27.8%)’,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발전 부문(15.6%)’ 등 순으로 인식했지만, 실제 1위는 발전 부문(32.7%, 2021년 기준 환경부 발표)이다.
석탄 발전을 대체할 재생 에너지원으로는 태양광(45.2%)이 1순위에 꼽혔다. 이어 수소(25.1%), 수력(11.5%), 풍력(10.8%), 바이오매스(7.4%) 순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의 자체적 재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조달에 대한 여론은 ‘동의한다’는 응답(매우 동의 28.7%, 동의하는 편 63.3%)이 92%에 달하고, ‘비동의’는 8.0%(전혀 동의하지 않음 1.0%, 동의하지 않는 편 7.0%)에 그쳤다.
서울시민은 가정용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 의향을 묻는 질문에 ‘있는 편이다(61.7%)’, ‘매우 있다(22.1%)’, ‘없는 편이다(13.0%)’, ‘전혀 없다(3.2%)’등으로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질문지에는 '서울시에서는 주택형 및 건물형 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는 참고 사실도 함께 제공됐다. ‘석탄을 넘어서’ 제공
특히 서울시민들은 ‘가정용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 의향’에 대해 83.8%(매우 있다 22.1%, 있는 편이다 61.7%)가 ‘있다’고 답했다. 설치 의향이 있다고 답한 838명을 대상으로 ‘만약 (보조금) 미지원 시에도 설치 의향이 있는지’ 추가로 묻자,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이가 47.5%(매우 있다 4.9%, 있는 편이다 42.6%)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일정 부분 이상을 해당 건물에서 생산하도록 태양광 등을 설치 의무화하는 방안도 83.6%(적극 찬성 21.6%, 찬성하는 편 62.0%)가 찬성의견을 냈다. 반대 의견은 16.4%(적극 반대 2.8%, 반대하는 편 13.6%)로 조사됐다.
김규리 기후솔루션 활동가는 “서울시민 다수가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직접 설치를 비롯해 직접 나서야 할 만큼 기후위기와 화석발전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 이번 설문으로 확인됐다”며 “정부와 서울시는 시민의 이런 열망에 제도적 변화로 호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