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모든 사람이 채식한다면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등록 2023-02-08 09:00수정 2023-02-08 09:30

기후변화 특별기획|소는 억울하다
⑨식품 생산과 소비, 두 마리 토끼를 잡아라
식품소비 습관 안 바꾸면 온난화 못 막아
농축산업도 지속가능한 체제로 혁신해야
기후변화와 식품을 다룬 다수의 보고서들은 농축산업 부문에서 재배·사육 방법의 혁신 외에도 동물성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음식물쓰레기를 줄여야 충분한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고 말한다. 클립아트코리아
기후변화와 식품을 다룬 다수의 보고서들은 농축산업 부문에서 재배·사육 방법의 혁신 외에도 동물성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음식물쓰레기를 줄여야 충분한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고 말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육류를 만드는 데 나오는 모든 온실가스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1%(유엔 식량농업기구 2015년 기준·전주기 분석)에 이른다. 지구의 미래에 우리 식습관이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래를 위해서는 생산과 소비의 양면 작전이 필요하다. 첫째는 소에서 메탄을 줄이는 사육 방법과 기술 혁신에 나서는 것이고, 둘째는 육식 소비를 줄이는 식단 개선에 나서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소의 삶의 질을 고려하는 배려가 있어야 한다.

세계적 과학자들이 모인 ‘잇-란셋위원회’(EAT-Lancet)는 2019년 ‘식품의 대전환’ 보고서에서 네 가지 해결책을 제안했다. 이들은 △식품 생산 과정에서 식품 손실량 감량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한 혁신과 소비 과정에서 식단의 변화, 행동의 변화 등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2050년까지 식품 부문 감축 목표량 중 생산 과정에서 줄일 수 있는 온실가스는 최대 10%인 반면 채식 확대 등 소비 과정에서 일으키는 식단과 행동 변화는 최대 80%까지 가능하다고 봤다. 즉, ‘슈퍼 저탄소 소’를 만드는 것처럼 기술적 해결책의 효과는 제한적이어서, 소비 부문의 감량 없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안전한 수준으로 줄일 수 없다는 얘기다.

‘잇-란셋위원회’(EAT-Lancet)가 식품 생산-소비 부문의 개선 여부를 가정해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했다. 동물성식품 감량 등 소비 부문의 개선 없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안전한 수준으로 줄일 수 없음을 보여준다. 그래픽_백지숙 소셜미디어팀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세계 모든 사람이 채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미래 연구기관인 ‘옥스퍼드대 마틴스쿨’은 2016년 흥미로운 보고서를 펴냈다. 이 기관은 ‘세상 모든 사람이 채식한다면 2050년의 세계는 어떻게 변할까’라는 물음을 던져봤다.

2050년에 세계 인구는 100억에 육박하고, 중국과 아프리카 등을 중심으로 육류 소비가 늘어난다. 보고서는 첫째,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식단에 따라 육류를 조금 줄이는 경우, 둘째, 고기와 생선은 먹지 않지만, 우유∙치즈∙달걀 등은 섭취하는 락토오보 식단을 적용하는 경우, 셋째, 동물성 식품을 완전히 배제하는 비건 식단을 적용하는 경우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했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 권장 식단은 식품 부문의 온실가스배출량을 29% 줄였고, 채식식단과 비건식은 60% 이상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건강 효과도 분명했다. 세계보건기구 권장 식단으로 바꾸면 사망자 510만명이 줄어들었고, 채식식단과 비건 식단은 각각 730만명, 810만명이 줄었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과 소비 부문 동시 접근이 필요하다. 가장 앞선 나라는 영국이다.

영국 기후변화위원회(CCC)는 육류와 유제품을 2030년까지 20% 줄이고, 2050년까지 육류를 35% 줄이라고 권장하는 보고서를 2021년 6월 의회에 제출했다. 이 위원회는 재생농업에 바탕을 둔 지속가능한 방식의 축산 등 ‘좋은 육류와 유제품’ 그리고 육류를 대체하는 식물성 식품의 비중이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프랑스에서는 2021년 5월 광범위한 일상 혁신 방안을 다룬 ‘기후변화와 회복력 강화법’이 통과됐다. 이 법안에는 2040년부터 화석연료 차량 판매를 금지하는 것을 비롯해 2023년부터 학교와 공공기관 급식 메뉴에 매주 1회 이상의 채식주의 메뉴를 포함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반면, 한국은 저메탄 사료 개발 등 생산 과정의 기술적 해결만 집중하고 있을 뿐이다. 여전히 육류 섭취 감량 정책은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다. 한달에 두 번 ‘채식의 날’을 정해 육류 소비를 줄이려는 서울시교육청의 시도에 축산단체가 반발하는 등 이해관계자를 둘러싼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끝>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강 노벨상’ 따지러…스웨덴 대사관 몰려간 ‘부끄러운 보수단체’ 1.

‘한강 노벨상’ 따지러…스웨덴 대사관 몰려간 ‘부끄러운 보수단체’

[단독] ‘김건희 주식거래’ 두둔 근거가 ‘허위 호재’라는 검찰 2.

[단독] ‘김건희 주식거래’ 두둔 근거가 ‘허위 호재’라는 검찰

노년 더 쓸쓸해졌다…‘나혼산’ 늘고 ‘자녀와 연락’ 줄어 3.

노년 더 쓸쓸해졌다…‘나혼산’ 늘고 ‘자녀와 연락’ 줄어

의협 회장 “부적절 표현”…사회수석에 ‘정신장애 비하 발언’ 사과 4.

의협 회장 “부적절 표현”…사회수석에 ‘정신장애 비하 발언’ 사과

SPC 빵 만들다 숨진 23살…“제 딸 박선빈, 기억해주세요” 5.

SPC 빵 만들다 숨진 23살…“제 딸 박선빈, 기억해주세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