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개펄이 사막처럼…신음하는 새만금

등록 2006-05-19 18:52수정 2006-05-19 22:17

지난 17일 동진강 하구에 있는 전북 김제시 광활면 은파리 개펄에서 힘이 빠진 흑꼬리도요 한 마리가 소금기가 가득한 펄 위에 지쳐 쓰러져 있다. 사람이 다가가도 달아나지 못하고 배를 드러낸 채 누워 버둥거리던 이 새는 한참 뒤 겨우 몸을 추슬러 물가로 달아났다. 전문가들은 새만금 개펄의 상실로 먹이와 쉼터가 없어지면서 2년 안에 동아시아의 도요·물떼새들이 현저하게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난 17일 동진강 하구에 있는 전북 김제시 광활면 은파리 개펄에서 힘이 빠진 흑꼬리도요 한 마리가 소금기가 가득한 펄 위에 지쳐 쓰러져 있다. 사람이 다가가도 달아나지 못하고 배를 드러낸 채 누워 버둥거리던 이 새는 한참 뒤 겨우 몸을 추슬러 물가로 달아났다. 전문가들은 새만금 개펄의 상실로 먹이와 쉼터가 없어지면서 2년 안에 동아시아의 도요·물떼새들이 현저하게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도요새 탈진 힘겨운 날갯짓
마른 물길따라 조개 떼죽음
“인자 뭘하나” 어민들 한숨
끝막이 공사 한달 르포

전북 김제시 진봉면 거전리 갯벌의 갯고랑에 죽은 동죽이 줄지어 늘어서 있다. 담수가 밀려드는 장마철엔 더 많은 조개들이 죽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 김제시 진봉면 거전리 갯벌의 갯고랑에 죽은 동죽이 줄지어 늘어서 있다. 담수가 밀려드는 장마철엔 더 많은 조개들이 죽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7일 저녁 전북 김제시 광활면 은파리 개펄, 이상하게 도요새 한 마리가 사람이 가까이 가도 날아가지 않았다. 탈진한 흑꼬리도요였다. 훌쭉하게 마른 몸과 윤기를 잃은 깃털이 오스트레일리아를 떠나 수천킬로미터를 날아온 힘든 여정을 보여준다. 이제 새만금 개펄에서 체중을 갑절로 불려야 시베리아에 가서 번식에 성공한다. 하지만 새만금에 몰려온 수만마리의 도요·물떼새들은 곧 사라질 개펄인 줄을 모른 채 지천으로 숨져 드러난 조갯살을 파먹느라 정신이 없었다.

21일이면 새만금 방조제의 끝막이 공사가 끝난 지 한 달이 된다. 그러나 새만금 개펄은 이미 낯익은 그 개펄이 아니었다.

썰물로 드러난 광활한 거전개펄 들머리는 마른 지 오래돼 보였다. 딱딱한 표면은 쩍쩍 금이 갔고 하얀 소금기로 덮여 있었다. 물기를 잃은 개펄은 사막을 떠올리게 했다. 동행한 주용기 새만금생명평화 전북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소금기를 머금은 모랫바람이 불곤 한다”고 말했다.

자유롭게 드나들던 바닷물이 이제 폭 540m의 수문을 빼고선 완전히 가로막혔다. 당연히 바닷물이 덜 들어오고 덜 나간다. 개펄의 상당부분이 말라버렸고, 썰물 때 드러나는 개펄이 줄어 어민들은 조개 잡을 곳이 별로 없다.

거전개펄에서 손연장인 ‘그레’를 끌며 백합을 잡던 주민 신현정(58)씨는 “하루 2만원 벌기도 땀 난다”고 말했다. 오전 내내 잡은 백합 열댓개가 들어 있는 망태기를 보여주던 그는 “인자, 뭘 해서 먹고 살지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갯고랑에는 길게, 서해비단고둥·개맛·민챙이 등이 숨져 널브러져 있었다. 작은민가섬을 지나자 개펄에 꽂힌 채 입을 반쯤 벌리고 숨진 동죽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그 주변을 맴도는 날벌레가 유독 많다. 바깥 사람들의 눈길을 의식해선지 한국농촌공사는 지난 닷새 동안 어민들에게 일당 5만8천원씩 주고 숨진 동죽을 거둬내는 정화사업을 벌였다.


거전개펄에서 도요·물떼새를 조사하던 오스트레일리아 연구자 아드리안 보일은 “이런 장관을 보는 게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니 슬프고 화가 난다”고 말했다. 외국 관광객도 눈에 띄었다. 새를 살피려고 새만금을 찾은 영국인 알란 이튼은 “새만금은 새 애호가에겐 세계적으로 유명하다”며 “정말 끝난 거냐?”고 되물었다.

어민들은 체념 상태였다. 작은 배 세 척을 둔 정순모(53)씨는 “이제 밖에선 고기가 못 들어오는데, 안에 고기가 있어야 잡지!” 한탄하며 대낮부터 소주를 들이켰다. 지난주엔 심포와 문포 바다에 적조까지 발생했다. 어부들은 1200여척이 남아 있는 새만금 어선의 ‘감척 보상’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부안·김제/글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사진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18일 오후 거전갯벌을 찾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의 조류연구자들이 망원경으로 도요·물떼새의 개체 수를 세고 있다.
18일 오후 거전갯벌을 찾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의 조류연구자들이 망원경으로 도요·물떼새의 개체 수를 세고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