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생명과학부 천종식 교수 연구팀이 사단법인 한국화장실협회의 의뢰를 받아 지난해 10월 조사한 버스터미널과 역 등 5곳의 공중화장실 좌변기에서 검출한 31종 세균류 중 하나인 ‘아시네토박터’. 연합뉴스
서울대팀, 여성화장실 조사
공중 화장실 좌변기에 유해 세균들이 득실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천종식 교수팀은 4일 ‘공중 화장실 좌대에 상존하는 병원균에 대한 연구조사 보고서’를 내고, 서양식 변기 한 곳에서 평균 71만마리(10㎠당 3800마리)의 세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2월 한국소비자보호원이 화장실 손잡이(10㎠당 340마리)와 지하철 손잡이(10㎠당 86마리)에서 검출한 세균 수치의 11배와 44배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한국화장실협회의 의뢰를 받아 지난해 10월30일 서울 강남고속터미널 호남·경부선, 동서울터미널, 용산역, 서울역 등 다섯 곳의 화장실을 조사했다. 여성용 화장실에서 서양식 변기를 하나씩 골라 좌대와 덮개의 시료를 채취한 것이다.
검출된 세균 종류는 대장균군 등 모두 31종이었다. 8종은 면역력이 낮은 환자나 노약자에게 병을 일으킬 수도 있는 종류이다. 천 교수는 “고온다습한 여름에는 세균 번식이 더 왕성할 것”이라며 “공중 화장실에 대한 주기적인 살균·소독과 위생 변기 시트 설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