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도권매립지에 대규모 처리시설 추진
사료·퇴비화 정착 단계…비효율·과잉투자 우려
사료·퇴비화 정착 단계…비효율·과잉투자 우려
정부가 ‘녹색 성장’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리겠다며, 사료· 퇴비화 처리가 뿌리내린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까지 에너지 회수 방식 처리를 확대할 방침이어서 자원 낭비와 과잉 투자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환경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한 폐자원과 바이오매스(동식물 유기체)에서 에너지를 뽑아내는 것을 “(대통령) 임기 안에 가시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최적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대안”이라며, 수도권 매립지에 2017년까지 하루 1천t의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메탄가스를 뽑아내는 시설을 설치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1천t은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약 6분의 1 규모여서, 이 시설이 가동되면 현재 사료나 퇴비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 상당량을 끌어갈 수밖에 없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서 사료·퇴비화와 같은 물질 재활용 방식은 에너지 회수 방식보다 효율적이다. 이는 환경부 관계자들도 부인하지 않는다.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이 “재생에너지도 좋지만 사료·퇴비화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까지 에너지원으로 삼으려는 것은 너무 멀리 나간 것”이라고 지적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는 까다로운 분리 배출의 불편을 감수한 국민의 협조로 90% 이상 사료·퇴비화 방식으로 정착됐고, 발생량 감축 노력이 성과를 거두면서 사료·퇴비화 시설 가동률이 70%선까지 떨어졌다”며 “이런 상황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에너지원으로 돌리는 것은 낭비일 뿐 아니라 폐기물 처리에 혼란을 빚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료·퇴비화 처리는 한때 생산 제품의 수요처 확보에 문제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전량 소비될 뿐 아니라 기술 수출까지 할 수 있는 수준에 올라섰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환경부 관계자도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사료와 퇴비의 품질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이제 지나간 이야기”라고 말했다.
정승헌 건국대 교수(동물생산환경학)는 “음식물 쓰레기는 동물의 먹이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며 “환경부가 성공한 기술을 더 안정화하려 하기보다 폐기물 정책을 마치 유행을 좇아가듯 하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최병철 환경부 폐기물에너지팀장은 “사료·퇴비화가 잘 되고 있는 부분까지 에너지 회수로 돌리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