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타당성 조사 나서
환경부가 낙동강 일부 지역에서만 상수원으로 활용하는 ‘강변 여과 방식 취수’를 한강에서도 추진할 방침이어서, 운하 건설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수질오염 사고 대비용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환경부는 22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안전한 상수원 확보를 위해 2010년부터 한강 본류 지역에서 강변 여과 방식으로 취수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를 하겠다고 보고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질오염 사고에 대비해 예비 취수원을 갖고 있는 것이 좋다는 차원에서 타당성 조사를 하려는 것”이라며 “팔당댐 1일 상수원 공급량의 약 10%인 하루 75만t 가량을 팔당댐 상·하류 지역에서 강변 여과 방식으로 취수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강변 여과란 강변 지하에 취수시설을 만들어 강변의 모래에 의해 자연적으로 1차 정수된 물을 상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현재까지는 수질이 나쁜 낙동강변의 창원·함안 지역에만 하루 10만t 규모로 개발돼 쓰이고 있다.
하지만 환경부는 올해 초 업무보고에서 깨끗한 원수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서 취수 방식 다변화 방안의 하나로 강변 여과 방식을 제시했다. 4대 강 가운데 수질이 가장 양호한 한강이 이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문정호 환경부 기획조정실장도 이날 기자브리핑에서 “환경부의 환경 기초시설 사업 대부분은 과거부터 해 오던 것을 ‘4대 강 살리기’로 묶은 것으로, 이번에 크게 확대된 것은 없다”라면서도 “강변 여과수 사업은 이번에 추가 확대된 내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성규 환경정의 사무처장은 “강변 여과수 개발을 한강에까지 확대하려는 것은 운하로 상수원이 오염될까 우려하는 국민 여론에 미리 대응하려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한반도 대운하 건설을 반대하는 서울대 교수 모임(공동대표 김상종 교수 등 5명)이 이날 서울대에서 ‘4대 강 정비사업, 대운하가 아닌가?’란 주제로 연 긴급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4대 강 정비가 사실상 대운하 건설 추진”이라는 데 입을 모았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세부 사업안을 보면, 2004년 이후 폐기됐던 댐을 한강·낙동강 등에 다시 짓는 사업(3조1천억원), 하천 바닥 길 닦기(2조6천억원), 바다와 연결된 배수갑문 증설(5600억원) 등이 있는데, 이는 사실상 대운하 추진”이라고 지적했다. 4대 강의 본류 바닥을 닦는 것도 홍수 예방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분석했다. “홍수 예방이 목적이라면 산 사태 위험이 있는 강 지류나 군소 하천 등 차례로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데, 본류인 낙동강에 예산을 65%나 할당한 것은 ‘낙동강 운하’의 사전 포석”이라는 것이다.
서울대 교수 모임은 토론회 뒤 성명을 내어 “‘4대 강 정비계획의 실체가 대운하’라고 폭로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이태 박사에 대한 정부의 보복성 징계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김정수 정유경 기자 jsk21@hani.co.kr
서울대 교수 모임은 토론회 뒤 성명을 내어 “‘4대 강 정비계획의 실체가 대운하’라고 폭로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이태 박사에 대한 정부의 보복성 징계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김정수 정유경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