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가뭄 극복 위해 재이용 적극추진
2016년까지 지금의 44배 공업용수 목표
2016년까지 지금의 44배 공업용수 목표
지난여름 이후 이어진 가뭄으로 식수를 비롯한 생활용수 구하기가 어려워져 고통을 겪는 지역이 늘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가 ‘물 재이용 활성화’를 가뭄 극복의 새로운 대안으로 적극 추진하기로 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물 재이용은 하수·폐수를 처리한 물이나 한 번 사용한 물, 버려지는 빗물을 생활용수나 공업용수 등으로 쓰는 것을 말한다.
환경부는 17일 “근래 극심한 가뭄으로 물부족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라 가뭄은 더욱 빈발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물 재이용을 녹색 뉴딜의 핵심과제로 선정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물 재이용은 댐 건설과 같은 환경 파괴 없이 물부족을 해결하는 방안이 될 뿐 아니라, 기후변화 대책도 된다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수요지에서 먼 수원지에서 취수를 해 여러 차례 가압 과정을 거쳐 운반하면서 드는 에너지 소비를 줄여, 온실가스 배출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우선 수도법, 하수도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법 등 여러가지 법률에 흩어져 있는 물 재이용 관련 규정을 통합한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부터 제정할 계획이다. 이 법에 국가는 물의 재이용 촉진과 관리에 관한 종합계획을 세우고, 지방자치단체는 관할지역 안의 물 재이용 관리계획을 세우도록 의무화하는 조항을 담아, 물 재이용이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 법에는 물 재이용을 확대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종합운동장이나 체육관, 공공청사 등을 신축할 경우 빗물이용 시설을 설치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숙박시설·목욕시설·공장 등을 신축할 경우엔 한 번 사용한 물을 재활용해 쓰는 중수도 시설을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이 포함될 예정이다.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비율은 해마다 조금씩 높아져 왔지만, 2007년 한 해 발생한 65억t의 하수처리수 가운데 재이용된 양은 6.4억t으로 아직 10%에도 미치지 않는다. 게다가 재이용의 용도를 보면 하수처리장 안에서 청소용수나 냉각용수, 희석수 등으로 쓴 것이 절반을 넘고,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사용한 것은 8%가 채 안 된다. 농업용수와 공업용수 재이용 비율이 38%에 이르는 일본, 공업용수 재이용 비율만 80%인 싱가포르 등 물 재이용 선진국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환경부는 이런 물 재이용 확대 정책을 통해 2016년까지 전국의 19개 산업단지에서만 연간 4.4억t의 하수처리수가 공업용수로 사용되게 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2007년의 전국 하수처리수 공업용수 재이용량(0.1억t)의 44배에 이르는 양이다.
정복영 환경부 물산업육성과장은 “하수처리수는 연중 발생량이 일정하고, 고도처리를 통해 수질이 양호해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으로 부각된다”며 “하수처리수 4.4억t을 재이용하는 것은 충남 보령댐 4개를 대체하면서 연간 약 2만t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효과까지 낸다”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정복영 환경부 물산업육성과장은 “하수처리수는 연중 발생량이 일정하고, 고도처리를 통해 수질이 양호해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으로 부각된다”며 “하수처리수 4.4억t을 재이용하는 것은 충남 보령댐 4개를 대체하면서 연간 약 2만t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효과까지 낸다”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