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보고서…11개 항목중 10개 매우 양호
정부가 ‘심한 오염 때문에 죽어가고 있으니 강을 준설해야 한다’며 정비사업 필요성을 강조해 온 4대 강의 강바닥 퇴적물 오염도가 환경부 조사에서 매우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상희 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아 11일 공개한 ‘하천·호소 퇴적물 모니터링 시범사업 최종보고서’를 보면,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등 4대 강 135개 지점 퇴적물의 오염 평균값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와 총인, 중금속 등 11개 조사항목 가운데 10개 항목이 미국의 환경청(EPA)과 해양대기관리청(NOAA)의 기준치에 비춰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에서는 미국 환경청 기준치를 넘은 곳이 한 곳도 없었으며, 총질소는 11개 지점(8.1%), 총인은 4개 지점(3%)에서만 미국 환경청 기준치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함유량 측정에서, 미국 해양대기관리청의 퇴적물 최소영향농도 기준치를 초과한 지점의 비율은 납 13.3%, 아연 5.2%, 구리 12.6%, 카드뮴 3%, 수은 2.2%로 비교적 낮았고, 비소만이 59%로 높게 나왔다. 독성 유기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와 유사 다이옥신인 코플라나 폴리염화비페닐(Co-PCBs)은 모든 지점에서 기준치 이내였다.
이 보고서는 환경부가 퇴적물 국가 관리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난해 4~12월 경북대를 비롯한 6개 연구기관에 공동 용역을 맡겨 작성한 것이다.
김 의원은 시민환경단체들로 구성된 운하백지화국민행동과 함께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4대 강 바닥 퇴적물 오염도가 매우 양호하다는 사실로써, 정부가 4대 강 정비사업의 근거로 들었던 ‘준설을 통한 수질 개선’ 주장은 허구임이 증명됐다”며 “정부는 과학적 검증과 사회적 합의도 없이 추진하는 4대 강 정비사업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명호 운하백지화국민행동 상황실장은 “이처럼 4대 강 정비사업에 불리하게 해석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환경부가 지금까지 보고서 공개를 거부해 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4대 강 살리기 사업 추진을 퇴적물의 오염 여부만으로 판단할 수는 없으며, 김상희 의원실에 보고서 파일을 제공했기 때문에 공개하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