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수 기자
현장에서
“4대강 살리기도 바로 그런 목적입니다. 지난 5년간 평균으로 보면 연간 홍수 피해가 2조7천억원이고, 복구비가 4조3천억원이나 들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라디오 연설에서 전국의 태풍·호우에 따른 피해액과 복구비를 모두 합한 금액을 4대강의 홍수 피해액·복구비로 잘못 소개했다. 이 대통령이 실수를 한 사실은 지난 26일 국토해양부가 언론에 배포한 보도 해명자료가 입증한다.
국토부는 26일 <한겨레> 1면에 실린 ‘4대강 홍수피해 뻥튀기’ 기사와 관련한 이 자료에서 “(4대강 홍보 웹사이트에) 예시된 2조7천억원은 전국의 태풍·호우 피해액이며, (홍보) 동영상에서 표현된 7조원은 전국 피해액 2조7천억원과 복구비 4조3천억원을 합한 금액”이라고 밝혔다. 피해액이 집계된 지역이 전국이라는 점, 또 태풍 피해에는 홍수와 무관한 강풍에 의한 시설물과 선박, 농작물 피해 등이 모두 포함된다는 점에서 홍보 내용이 부풀려진 것임을 인정한 것이다.
하지만 국토부는 해명자료를 낸 뒤 잘못을 바로잡지 않고, 여전히 동영상을 통해 “연간 7조원이 넘는 홍수 피해액과 복구비가 절감됩니다”라고 홍보하고 있다. 이런 탓에 정책 결정자들 가운데도 4대강 사업의 타당성을 잘못 판단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중앙부처의 한 국장급 간부는 “홍수 피해·복구비 3년치만 모으면 (22조원이 드는 4대강 사업이) 되는데, 어떻게 안 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최승국 ‘운하 백지화 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은 “국토부가 4대강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려고 국민과 대통령의 눈을 가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