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연구소 조사…노동부, 보건관리 강화
여수ㆍ광양 산업단지 대규모 정비작업장에서 벤젠 등 일부 발암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2006~2009년 여수ㆍ광양 산업단지 12개 사업장의 대규모 정비작업 참여 근로자 4만4천여명을 대상으로 '발암성 물질 등에 대한 작업환경 평가'와 '직업성 암의 위험도 평가'를 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석유화학공장의 대규모 정비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작업 현장에서 채취한 벤젠, 1,3-부타디엔, 염화비닐(VCM) 시료 중 일부가 노출 기준을 웃돌았다는 것이다.
전체 시료 중 노출 기준 초과 비율은 벤젠 7.6%, 1,3-부타디엔 8.1%, 염화비닐 5.9%였다.
벤젠과 1,3-부타디엔은 백혈병 등 림프조혈기계질환에, 염화비닐은 간혈관육종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알려졌다.
노출 기준을 넘긴 주요 작업으로는 배관 내 이물질을 모두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맹판(시설보수, 정비 때 배관과 배관 사이에 설치하는 판)을 삽입하는 작업과 반응기를 개방하는 작업 등이 꼽혔다.
반면 제철소 근로자나 작업장은 호흡성분진, 결정형유리규산, 6가크롬 화합물, 공기 중 석면 등의 노출 기준을 넘긴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직업성 암의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일반 인구집단의 암 발생률과 암에 의한 사망률을 1로 봤을 때 여수지역 플랜트건설 근로자의 표준화비는 0.65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 표준화비란 일반 국민의 발생률이나 사망률을 1로 놓고 비교한 값으로 표준화비가 1보다 크면 일반 국민보다 위험 수준이 높다는 의미다.
여수ㆍ광양지역 플랜트건설 근로자의 백혈병 등 림프조혈계암 발생률 및 사망률은 일반 인구 집단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우는 위험 수준이 높거나 낮거나를 단정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여수지역 플랜트건설 근로자의 구강ㆍ인두암은 표준화발생비가 3.18, 표준화사망비는 4.21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원은 림프조혈기계암은 발생률이 매우 낮은 질병으로 그 위험도를 평가하기가 쉽지 않으며, 현재로서는 대규모 정비작업에 종사하는 여수ㆍ광양 산단 근로자들의 백혈병과 비호지킨림프종 발생 위험을 확정 지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수·광양 산단 대규모 정비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 일부가 벤젠 등 기준을 초과한 발암물질에 노출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작업 근로자의 직업성 암 예방을 위해 보건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노동부는 석유화학공장 정비작업에 대한 보건관리 강화 방안을 수립해 2월초 전국 석유화학업체와 정비공사 업체를 대상으로 일제 교육을 하고, 발주자인 석유화학업체에 대해 '정비작업 보건관리계획'을 세우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이어 3~4월에는 벤젠, 1,3-부타디엔, 염화비닐 취급설비를 보유한 전국 29개 석유화학사업장에 대해 일제 점검을 해 정비작업의 보건관리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대규모 정비작업 기간에 집중 점검을 별도로 실시할 계획이다.
국기헌 기자 penpia21@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