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장 앞둔 서울숲 내부 개장을 앞둔 뚝섬인근 서울숲의 내부.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다. 연합
도심 생태공원에 꽃사슴 등 야생동물 뛰놀아
계획·조성·관리운영 시민들이 주도
2년 5개월의 공사를 끝내고 오는 18일 개장하는 뚝섬 서울숲은 `서울의 센트럴파크'를 목표로 조성된 35만평 규모의 도시 생태공원이다. 문화예술공원, 생태숲, 자연체험학습원, 습지생태원, 한강수변공원 등 5개 테마공원으로 이뤄졌으며 꽃사슴과 고라니 등 야생동물도 방사돼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도심속 휴식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야생동물 뛰노는 시민 휴식공간 = 5개 테마공원은 각자의 생태적, 지리적 특성을 살리면서도 조화롭게 어우러져 서울시민들에게 자연속 휴식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공원에 들어서자마자 나오는 `문화예술공원'에는 잔디광장인 서울숲 광장과 야외무대, 숲속놀이터, 물놀이터, 스케이트파크 등이 들어서 온가족 쉼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된 채 야생동물의 천국이 될 `생태숲'에는 상수리나무, 소나무, 밤나무, 고로쇠나무, 산벚나무 등이 울창하게 들어섰다. 지난 6일 생태숲에는 꽃사슴 21마리, 고라니 10마리, 다마사슴 5마리, 다람쥐 30마리가, 숲속 연못에는 원앙 6마리, 청둥오리 8마리, 흰뺨검둥오리 8마리, 쇠물닭4마리가 방사됐다. 숲속 연못에는 물이 채워지기 바쁘게 왜가리, 물총새 등이 찾아와, 앞으로 숲이더 우거지면 야생동물의 편안한 보금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들은 숲을 관통하는 보행전망교를 따라 걸으며 이들 야생동물들이 뛰어노는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 아래쪽 뚝도 정수장 옆에는 생태를 배우는 공간인 `체험학습원'이 만들어졌으며, 맨 위쪽 유수지에는 야외자연교실, 환경놀이터, 조류관찰대, 정수식물원 등을 갖춘 `습지생태원'이 들어섰다. 마지막으로 한강과 맞닿는 곳에는 선착장과 자전거도로 등으로 구성된 `한강 수변공원'이 조성됐다. ◆ 공원 관리, 시민에 맡긴다 = 서울숲은 공공기관이 시민들을 위해 일방적으로제공하는 방식을 벗어나 시민이 계획, 조성, 관리운영의 전과정에 참여한 국내 최초의 공원이다.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