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생태계 정밀 조사부터”
정부가 ‘4대강 사업’에 따른 피해를 우려해 4대강에 사는 멸종위기 어류 8종의 증식·복원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4대강 생태계에 대한 정밀한 조사 없이 일부 어류만을 인공적으로 증식하는 보존 대책은 효과가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환경부는 22일 “준설과 보 설치 공사로 인한 서식처 훼손 등 4대강 사업으로 생물종에 대한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2015년까지 시행되는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의 증식·복원 대상종을 2012년까지 4대강 서식종에 대한 사업으로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2008~2009년 ‘수생태계 건강 조사’에서 나온 4대강 본류 구간의 멸종위기 어류에 대한 증식·복원 작업을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와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대상 어종은 가는돌고기, 묵납자루, 꾸구리, 돌상어, 얼룩새코미꾸리, 흰수마자, 감돌고기, 퉁사리 등 8종이다. 환경부는 이들 어종을 채집해 인공 증식·복원 작업을 벌이는 한편 생태적 특성에 맞는 서식처를 조성하고 어도 등 이동통로 설계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관련 예산으로는 환경부가 8억9000만원, 4대강살리기추진본부가 19억원을 투입한다.
이번 조처는 그동안 정부가 4대강 사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주장하던 것과 배치돼 논란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마치면서 “하천공사가 생태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적고, 서식지가 대부분 원형 보전돼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환경단체들은 현재 시급한 것은 멸종위기 어류의 증식·복원이 아니라 공사를 중단하고 하천 생태계의 변화상을 예측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녹색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 “천연기념물 황쏘가리 등 각종 민물고기가 봄철 산란기에 접어드는데, 정작 현장은 공사로 인한 흙탕물에 뒤집히고 있다”고 밝혔다. 또 녹색연합은 △16개 보로 인해 하천에서 호소로 바뀌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생태계 변화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점 △멸종위기 어종이 나중에 방류될 대체서식지의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점 등을 들며, 정부 대책으로는 멸종위기종을 보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