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3공구 60만㎥ 점질토 존재” 처리비용 신청
환경단체 “점질토 없는 지역” 부풀리기 주장
환경단체 “점질토 없는 지역” 부풀리기 주장
부산시와 환경단체가 4대강 사업 낙동강 3공구 구간의 점질토 처리비용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3공구 대저·삼락지구 강바닥에 있다고 추정되는 점질토의 존재 유무가 논란의 중심이다. 시는 지난해 12월 설계회사인 ㅇ사가 작성한 도면을 근거로 대저지구에 48만㎥, 삼락지구에 12만㎥ 등 60만㎥의 점질토가 강바닥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도면은 이 회사가 앞서 2009년 8월 3공구 강바닥 13곳의 성분을 조사해 같은해 10월 완성한 도면(지반조사 결과서)을 바탕으로 다시 만든 것이다. 2차 지반조사를 한 것이 아니라 최초 도면을 보고 계산한 추정치다.
21일 <한겨레>가 2009년 10월과 지난해 12월 도면을 비교했더니, 2009년 10월 도면을 만들 때는 부산권의 낙동강 관리수위(평균 해수면으로부터 높이)가 0.3m였는데 감사원의 지적으로 관리수위가 0.76m로 높아져 준설 깊이도 해수면 아래 9.5m에서 7m로 줄어들어 점질토 물량이 273만㎥에서 60만㎥로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왔다.
시는 추정치를 근거로 시공사 쪽에 점질토 공사비를 나중에 지급하겠다며 일반 준설토와 함께 점질토도 준설할 것을 재촉하고 있다. 이에 시공사는 3월1일부터 시험준설을 거쳐 대저지구 구간의 3분의 1 정도를 걷어냈다.
시는 60만㎥ 점질토 처리비용 175억원을 부산국토관리청과 4대강사업본부를 거쳐 기획재정부에 신청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예산을 확정하면 감리단의 검토와 시 심의를 거쳐 시공사와 설계변경 계약을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달리 생명그물·습지와 새들의 친구 등 부산의 환경시민사회단체들로 꾸려진 운하반대 낙동강지키기 부산운동본부는 대저지구와 삼락지구에는 점질토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준설 깊이가 수면에서 강바닥 쪽으로 9.5m에서 7m로 줄어들면서 점질토를 걷어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특히 이 단체는 공사비 부풀리기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부산권 낙동강 구간인 1~4공구 가운데 1·2·4공구는 관리수위 조정 뒤 2차 지반조사를 거쳐 공사를 하고 있지만 3공구만 2차 지반조사를 벌이지 않은데다 대저지구와 이웃한 4공구 지점 지반조사 결과 수면에서 강바닥 쪽으로 7m까지 대부분 모래만 나왔다는 것이다.
부산운동본부 관계자는 “감사원은 제기된 의혹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 낙동강사업본부 황용태 사업부장은 “공사 변경이 있다고 해서 지반조사를 반드시 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지만 제기된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 지반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부산운동본부 관계자는 “감사원은 제기된 의혹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 낙동강사업본부 황용태 사업부장은 “공사 변경이 있다고 해서 지반조사를 반드시 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지만 제기된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 지반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