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폐기·신규건설 반대 줄이어
지방의회 의원·대학생 등 동참
‘탈핵 희망버스’ 타고 밀양으로
지방의회 의원·대학생 등 동참
‘탈핵 희망버스’ 타고 밀양으로
부산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1년을 맞아 수명을 연장한 고리원전 1호기 폐기와 우리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을 반대하는 선언문 발표와 원전 반대 행사가 잇따르고 있다.
이성숙 의원 등 부산시의원 3명과 김광수 연제구의회 부의장 등 16개 구·군의원 57명은 7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부산을 위한 탈핵선언’을 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세계적으로 원전의 안전성이 강화되기 이전에 건설된 고리원전 1호기는 원자로 압력용기가 하나의 주물로 만들어지지 않고 세 조각을 용접해 만든 것이어서 안전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며 “고리원전으로부터 30㎞ 안에 살고 있는 322만명의 안전을 위해 30년 설계수명이 다한 뒤에도 10년 더 가동하고 있는 고리원전 1호기를 즉각 폐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고리에는 이미 5기의 핵발전소가 가동중이고, 3기가 건설되고 있는데도 정부가 4기를 추가로 건설하려 한다”며 “서울과 수도권에는 1기도 없는 핵발전소를 동일 지역에 12기나 건설하는 비상식적인 에너지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부산대·동아대·부산교대 총학생회 간부 등 부산과 경주의 대학생 80명도 이날 선언문을 발표해 “제 수명을 다한 낡은 고리 핵발전소 1호기는 즉각 폐쇄되어야 하고,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중단되어야 하며, 삼척·영덕의 신규 원전 부지 선정은 취소되어야 한다”며 정부에 핵발전소 폐쇄와 신재생 대안에너지 분야 투자를 요구했다.
이들은 “후쿠시마 사고 뒤 일본은 핵발전소 54개 가운데 3개만 가동하고 있으나 우리는 현재 가동중인 21기에 이어 7기를 건설하고 있고, 6기는 계획 단계에 있다”며 “바로 눈앞에서 벌어진 재앙을 보고도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한다면 이는 어리석음을 넘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가장 먼저 돌볼 책임과 의무를 방기하는 범죄행위에 다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부산의 문화·노동·교육계도 10일 탈핵선언에 나서며, 이날 오후 2시 부산역에서는 ‘핵 없는 세상을 위한 부산시민 한마당’을 연다. 17~18일에는 경남 밀양시에서 고리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보내는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며 분신사망한 마을주민을 추모하는 문화제와 송전탑이 들어설 예정인 밀양시 산외면 부북면에 나무를 심는 ‘탈핵 희망버스’ 행사가 열린다.
앞서 지난달 28일 임대식 목사(평화교회), 도관 스님(범어사), 김준한 신부(천주교 부산교구)와 이광수 부산외대 교수 등 부산·울산·경남의 종교인 840명과 교수 81명은 ‘핵 없는 사회를 위한 부산·울산·경남 종교인 선언’과 ‘탈핵 및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수 선언’을 각각 발표했다.
6일에는 부산환경운동연합과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 등 부산의 시민사회단체 50여곳의 회원 717명이 탈핵 선언을 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정희의 또다른 ‘장물’ 청구대학
■ 쿵·쿵…6차례 발파…구럼비 해안 화약냄새로 뒤덮여
■ 새누리 시스템 공천? 친박에겐 너그러운 ‘도덕성 잣대’
■ 삼성에버랜드 ‘재벌 웨딩홀’ 시끌
■ ‘김재철 법인카드’ 내역 유출자 색출 논란
■ 박정희의 또다른 ‘장물’ 청구대학
■ 쿵·쿵…6차례 발파…구럼비 해안 화약냄새로 뒤덮여
■ 새누리 시스템 공천? 친박에겐 너그러운 ‘도덕성 잣대’
■ 삼성에버랜드 ‘재벌 웨딩홀’ 시끌
■ ‘김재철 법인카드’ 내역 유출자 색출 논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