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 회원들이 지난 21일 서울 종로구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고리원전 1호기의 폐쇄를 촉구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부산시의회·시민단체 등
수명 다한 원전 폐쇄 건의
수명 다한 원전 폐쇄 건의
한국수력원자력㈜이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전력공급 중단 사고를 조직적으로 은폐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정부가 30년인 설계수명을 10년 더 연장한 고리 원전 1호기와 올해 수명이 다하는 경북 월성 원전 1호기를 폐쇄하라는 요구가 거세게 터져나오고 있다.
고리 원전과 이웃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주민들은 고리 1호기 사고 은폐 소식을 접한 뒤 고리원자력본부 쪽에 집단 이주를 다시 요구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고리 원전이 들어설 때부터 이주를 요구했지만, 안전거리인 700m 밖 지역이란 이유로 성사되지 못했다”며 항의 집회를 벌일 태세다.
부산시의회는 22일 고리 1호기의 폐쇄를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해 대통령과 국무총리 등에게 보냈다. 시의회는 “원전의 전원공급 중단 상태가 지속했다면 원자로가 냉각되지 않아 노심이 녹는 아주 중차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며 “인력·설비·안전관리 시스템에 총체적인 문제가 드러난 고리 1호기는 즉각 폐쇄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리 원전에 이웃한 울산 울주군의회도 21일 같은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올해 11월 설계수명 30년이 끝나는 월성 원전 1호기도 폐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주핵안전연대는 21일 성명을 내어 “고리 1호기 사고는 원전의 모든 냉각시스템이 붕괴해 후쿠시마와 같은 참사를 부를 수 있는 사고였다”며 “낡은 월성 1호기의 수명도 연장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이것이 봄날의 스트레칭이다람쥐~
■ 민주, 이정희 압박하려 ‘경선 탈락’ 백혜련 공천 강행
■ 호주머니 속 삼성 ‘갤S2’ 배터리 폭발
■ “박찬호 괜찮은거야?”
■ “태양 폭발 뉴스 잦아진 이유는…”
■ 이것이 봄날의 스트레칭이다람쥐~
■ 민주, 이정희 압박하려 ‘경선 탈락’ 백혜련 공천 강행
■ 호주머니 속 삼성 ‘갤S2’ 배터리 폭발
■ “박찬호 괜찮은거야?”
■ “태양 폭발 뉴스 잦아진 이유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