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 에너지정의행동,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회원들과 녹색당, 진보신당 당원들이 26일 낮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미국 등 핵무기 보유 5개국 정상들과 이명박 대통령의 가면을 쓰고 핵안보정상회의를 풍자하는 행위극을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핵안보정상회의
“핵강대국의 기득권 잔치”
환경·노동단체 비판 회견
“핵강대국의 기득권 잔치”
환경·노동단체 비판 회견
53개국 지도자와 4개 국제기구 대표가 한데 모인 핵안보정상회의 첫날,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여기저기서 터져나왔다. 핵안보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정작 지난해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위험성이 재확인된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논의는 빠졌기 때문이다.
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등 종교계는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견지동 조계사 국제회의장에 모여 ‘생명과 탈핵’을 주제로 합동 세미나를 연 뒤 ‘탈핵·탈원전 선언문’을 발표했다. 4대 종단이 모여 정부에 원전 확대 정책의 중단을 요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핵무기와 핵발전의 위험성이 근원적으로 동일하다는 데서 핵안보정상회의의 실체와 진정성이 의심받는 현실에 주목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이 핵발전을 확대하고 수출하겠다고 하는 것은 (자신이 믿는) 기독교 정신에 위배될 뿐 아니라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부정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앞으로 탈핵·탈원전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노력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4대 종단의 이날 탈핵·탈원전 선언은 4대강 사업에 이어 종교계가 정부 정책에 공동으로 반기를 든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천주교는 지난해 5월 강우일 주교회의 의장이 ‘원자력발전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성찰’을 발표했고, 기독교는 올해 2월 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핵없는 세상을 위한 그리스도인 신앙 선언’을 낸 바 있다.
에너지정의행동, 환경보건시민센터, 서울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정상회의는 각국 원전 마피아들의 비즈니스장으로 변질됐다”며 “후쿠시마 사고의 교훈과 한반도 탈핵지대화의 메시지를 담은 결의문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들이 이처럼 정상회의에 반대하는 이유는 강대국의 핵 감축이나 전면적인 비핵화 논의가 의제에서 빠져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정상회의가 △핵테러 대응 △핵물질 및 핵시설 방호 △핵물질 불법거래 방지 등 테러단체를 겨냥한 핵안보를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강대국이 가진 핵무기나 자신들이 운영하는 원전의 사고 방지 대책은 논의 석상에 올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방사능 피해를 불특정 다수가 입는다는 점에서 원전 사고나 핵무기는 똑같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40개 단체가 모인 ‘세상을 바꾸는 민중의 힘’도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역사적으로 핵참사는 핵테러 단체가 아니라 핵강대국에서 일어났음에도 자신의 핵무기나 핵발전소 감축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고 있다”며 “이번 회의는 핵강대국의 핵독점과 핵패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이번 회의는 핵보유국 간의 결속을 다지는 자리에 불과하다”며 “특히 개최국인 한국 정부는 이번 기회에 핵산업을 수출하려 하고, 각국 정상들 역시 핵 기득권 포기 의사가 없어 이번 회의는 사실 핵 확산을 위한 회의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오혜란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사무처장은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핵문제는 한반도 비핵화인데 이를 대화로 풀기 위한 6자회담은 도외시하고 북한에 대한 강경책만 내놓는 한·미 정상을 보면 핵문제 해결의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남종영 정환봉 기자 fand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남자는 왜 여자를 의식할 때 ‘멍~’ 해지나
■ 동영상 유출 여성스타, 눈물 대신 ‘맞불 동영상’
■ 외국어대 용인캠퍼스까지 휴강 불똥
■ 여전사 하지원 ‘남주인공 상위’ 뒤집을까
■ 낫 모양의 턱…‘마취 사냥꾼’의 왕 발견
■ 남자는 왜 여자를 의식할 때 ‘멍~’ 해지나
■ 동영상 유출 여성스타, 눈물 대신 ‘맞불 동영상’
■ 외국어대 용인캠퍼스까지 휴강 불똥
■ 여전사 하지원 ‘남주인공 상위’ 뒤집을까
■ 낫 모양의 턱…‘마취 사냥꾼’의 왕 발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