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개 시민단체 28일 집결…“고리 1호기 폐쇄” 요구
30년인 설계수명을 10년 더 연장해 가동해오다 지난달 전원이 완전히 꺼진 사고를 한 달여 동안 은폐한 사실이 드러난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폐쇄 운동이 전국으로 번지고 있다.
전국의 70여개 시민·사회·종교단체로 꾸려진 ‘핵 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과 부산의 47개 단체로 꾸려진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28~29일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자력본부 앞 등에서 ‘5000만의 시한폭탄, 고리 1호기 당장 폐쇄’라는 주제로 ‘고리원전 1호기 폐쇄를 위한 2차 탈핵버스’ 행사를 연다”고 23일 밝혔다.
전국에서 버스와 기차 등을 타고 온 시민들과 환경운동 활동가들은 28일 오후 3시 고리원자력본부 앞에 모여 ‘고리 1호기 폐쇄 시민결의대회’를 연 뒤 고리원전 1호기 폐쇄를 적은 노란색 손수건을 손목에 묶고 고리원자력본부 앞~길천마을~월내항 방파제(약 1㎞)를 에워싸는 인간띠를 만든다.
이어 저녁 6시께 기장군 정관면 정관새도시 홈플러스 옆 윗골공원에서 열리는 송전탑 반대 주민궐기대회에 참가한다. 주민궐기대회는 신고리원자력발전소 5~6호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영남권 등으로 보내는 송전탑이 정관새도시에 세워지는 것을 반대하는 ‘765kV 송전탑을 반대하는 정관주민연대’가 여는 것이다.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는 정관면 주민들과 고리원전 1호기 폐쇄를 요구하는 시민들이 함께 집회를 여는 것은 처음이다.
궐기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버스 등을 타고 신고리원전 5~6호기의 송전탑이 지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마을주민들이 대책위원회를 꾸려 싸우고 있는 경남 밀양으로 이동해 마을회관에서 숙박을 한다. 다음날인 29일에는 신고리원자력발전소 5~6호기의 송전탑 설치에 반대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마을주민의 뜻을 이어받기 위해 한전이 송전탑을 세우기 위해 벌목한 산으로 가 지난달 18일 1차 탈핵버스 참가자들이 함께 심은 ‘희망나무’를 보고, 송전탑을 막기 위해 산중턱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는 할머니들을 만난다.
이번 행사는 4·11 총선으로 잠시 주춤해진 고리원전 1호기 폐쇄 운동을 다시 확산시키고, 그동안 따로 펼쳤던 고리원전 1호기 폐쇄 운동과 부산 정관 및 경남 밀양의 송전탑 반대투쟁을 하나로 묶는 의미가 있다. 또 이번 총선에서 새누리당의 텃밭인 영남권에서 야당 소속으로 유일하게 3선에 성공한 민주통합당 조경태 당선자(부산 사하을)와 녹색연합 사무총장을 지낸 통합진보당 김제남 당선자(비례대표)가 이번 행사에 참가할 예정이어서 고리원전 1호기 폐쇄 문제가 19대 국회에서도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