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단체 농성 돌입
정부가 정전사고 은폐로 지난 3월 가동이 중단된 고리원전 1호기(부산 기장군)를 새달 3일까지 재가동에 나서겠다고 밝힌 가운데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가 고리원전 1호기의 재가동에 반발하며 농성에 들어갔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30일 부산시청 앞에서 고리원전 1호기 폐쇄를 촉구하며 농성을 시작했다. 이 단체는 부산와이엠시에이·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부산환경운동연합·천주교부산교구정의평화위원회·새날교회 등 50여개 시민사회·종교단체와 야5당으로 꾸려졌다.
이 단체는 “고리원전 1호기가 생산하는 전기량 58만㎾는 우리나라 전체 전기량의 약 1%밖에 되지 않고 지난 20일 신고리원전 2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해 그 비중이 더욱 줄어들었는데도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이 부산시민의 안전을 담보로 언제 어떻게 될지도 모를 낡은 고리원전 1호기를 재가동하려 하고 있다”며 “정부는 고리원전 1호기를 즉각 폐쇄하라”고 촉구했다.
또 이 단체는 “정부는 지금까지 핵발전소가 가장 깨끗하고 안전하고 값싼 에너지라고 선전하다가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뒤에는 저렴하다는 말을 앞에 내세워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여름에 고리원전 1호기의 재가동을 주장하고 있으나 핵발전소는 값싼 에너지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전기 원가에는 건설비와 운영비뿐만 아니라 핵발전소 해체 철거 및 핵폐기물 처리비용, 안전대책비, 사고대응비, 홍보 및 법정 주민지원비(신고리 5~6호기 건설지역 지원규모는 1조2000억원)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는 “정부는 8월 3~4째 주 사이에 전력수급 상황이 가장 위험할 것이라며 고리원전 1호기의 재가동 이유를 밝혔으나 지난해 전력대란은 9월에 일어났으며 지난달 21일 전력위기 대책 훈련에서도 우리는 3시간 동안의 위기를 절약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고리원전 1호기를 다시 가동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금메달 스트레스’에 어금니가 빠졌다”
■ ‘턱·다리 부상’ 박주영, 가봉전 출전은?
■ ‘소통이라더니…’ 새누리당 누리집 이념·지역갈등 조장
■ “노상까고, 삥도 뜯었지만…폭력만큼은 평생 죄책감으로”
■ [화보] 세계 최강 주몽의 후예들
■ “‘금메달 스트레스’에 어금니가 빠졌다”
■ ‘턱·다리 부상’ 박주영, 가봉전 출전은?
■ ‘소통이라더니…’ 새누리당 누리집 이념·지역갈등 조장
■ “노상까고, 삥도 뜯었지만…폭력만큼은 평생 죄책감으로”
■ [화보] 세계 최강 주몽의 후예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