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서울시 강서구 오곡동과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일대의 김포공항 습지에서 10여종의 새들을 만났다. 새들은 ‘조류 위험지대’인 공항 옆에 터전을 일궜다. 흰뺨검둥오리가 습지 위를 날고 있다.
[토요판] 생명 ‘버드 스트라이크’의 명암
▶ 김포공항 담장은 하늘 위로도 솟아 있다. 담장은 투명망토처럼 새들의 공중 경계선이 된다. 학습효과 때문에 새들은 좀처럼 투명망토를 뚫고 공항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강한 총성에 혼비백산해 쫓겨났거나 영영 돌아오지 않은 새들을 기억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죽은 백로가 한해 862마리. 그런데 바로 그 담장 아래 ‘새들의 오아시스’가 생겼다.
경작 멈추니 습지로 돌아간 땅
법정보호종만 25종
그러나 조류퇴치 작업으로
한해 2000마리가 죽어나가 공항공사는 비행 안전을 위해
27홀 규모 골프장을 지어
새를 내쫓아야 한다고 주장
환경단체는 습지가 되레
새의 공항진입 막는다고 반박 김포공항에 새들의 천국이 숨어 있다. 법정보호종만 25종이 산다. 불과 몇 년 만에 습지가 자랐고 새들이 몰려왔다. 새들은 서울시와 경기도 부천시 사이 대장들녘에서 낟알을 주워 먹는다. 한강에서 끌어온 동부간선수로(부둑천)가 도심 속 벌판을 흐른다. 가을 햇볕에 나락이 익고 습지를 오가는 백로가 목을 축인다. 들녘 한쪽에는 부천 덕산초등학교 대장분교도 숨어 있다. 새들이 사는 곳은 김포공항 습지다. 아직 이름이 붙지 않아 오곡동 습지(서울시 강서구 오곡동, 부천시 대장동 쪽), 고강동 습지(부천시 고강동 쪽)라고도 불린다. 습지는 대장들녘 동쪽, 김포공항 서쪽 담장을 따라 이어진다. 지난 5일 오후 이복식(2개 학년이 한 반) 수업을 하고 있는 대장분교에서 탐조를 시작했다. 대장들녘에서 김포공항 쪽으로 가자마자 처음 나타난 건 해오라기였다. 물까치가 나무 열매를 따먹고 황조롱이는 하늘에서 정지비행을 하면서 먹이를 찾고 있었다. 들어갈수록 수풀은 깊고 높아졌다. 도루박이(도로박이)와 줄, 부들은 어른 키가 넘었고 어떤 곳은 늪이 되어 있었다. 너구리 발자국 너머로 보이는 늪지 한가운데 흰뺨검둥오리가 숨어 있었다. 인기척이 들리자 오리들이 떼를 지어 비상했다. 백로들은 습지에서 떨어진 동부간선수로에 모여 있었다. 이날 오후에 본 새만 10종이 넘었다. 서울시립대 환경생태연구실과 서울환경운동연합 등이 2009년 6월부터 최근까지 조사한 결과를 보면, 황새·재두루미·독수리·쇠부엉이·오색딱따구리 등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서울시 보호종 등 법정보호종만 25종의 새가 산다. 어떻게 수도권 한복판에 ‘새들의 오아시스’가 생겼을까? 한국공항공사는 1989년부터 항공기 소음 민원 해소와 이착륙 안전을 위해 공항 주변 땅과 주택을 매입해 왔다. 2004년엔 1300억원을 들여 27홀 규모의 대중골프장(99만6000㎡)을 짓기로 했다. 2008년 농사가 중단되고 마을 사람들은 논을 두고 떠났다. 비가 온 뒤 묵정논은 둠벙이 되고 습지식물이 자라기 시작했다. 3~4년 만에 상전벽해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곳을 조사해 온 이세걸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이 말했다. “원래 습지였던 거죠. 그걸 개간해서 경작을 한 거고 버려두니까 다시 습지가 된 거예요.” 습지의 전형적 토양인 이탄층(지하수에 의해 죽은 식물이 썩지 않고 쌓인 곳)은 물을 잘 머금는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논을 버리고 떠나자마자 금세 자연습지가 된 것이다. 참깨밭에서 일하던 한선균(65)씨가 말했다. “너구리, 오소리도 살아요. 어, 저기 후투티 있네.”
알록달록한 새 한 마리가 숲으로 들어갔다. 숲 뒤로 비행기가 굉음을 내며 치솟았다. 공항에서 1㎞도 떨어지지 않았다. 김포공항 담장을 경계로 서쪽은 새들의 천국이, 동쪽은 새들의 무덤이 있었다.
서로 닮았지만 비행기와 새는 피해야 할 상극이다. 중형 이상의 여객기 날개 밑에는 엔진이 달려 있다. 거기로 큰 새가 빨려 들어가면 최악의 경우 엔진 정지로 추락한다. 2009년 뉴욕 허드슨강에 불시착했다가 탑승객 전원이 무사히 구조돼 화제를 뿌렸던 유에스항공도 비슷한 경우다. 그래서 모든 공항은 조류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을 막기 위해 공항 밖으로 새를 내쫓는다. 인공폭발음으로 새를 쫓거나 녹지대에 특수그물을 덮어 새를 못 앉게 한다. 사람 형태의 인형인 ‘스케어리 맨’이나 독수리 모양의 풍선을 띄워 새의 공포심을 자극하기도 한다.
가장 기본적인 건 공항 전담 요원들의 조류 퇴치 작업이다. 이들은 매일 활주로와 공항 주변에서 산탄총을 쏘아 새를 내쫓는다. 산 채로 몰아내는 게 원칙이지만 죽는 새들도 있다. 김포공항에서만 한해 2000마리가 넘게 죽는다.
한국공항공사 2010년 통계를 보면, 기러기류 16만1330마리, 오리류 7928마리, 종다리 9549마리, 황조롱이 2011마리, 도요새류 1914마리 등 19만9367마리가 내쫓겼다(똑같은 새를 내쫓은 경우 반복 계산). 덩치가 큰 백로 862마리는 실제 잡혀서 죽었다. 까치 562마리, 도요새 26마리 등 총 2321마리가 죽었다. 도요새의 일부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포획이 제한된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가 말했다. “새들이 비행기로 접근하는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포획을 하게 됩니다. 항공기 안전상 어쩔 수 없습니다. 도요새의 경우 천연기념물이나 멸종위기종이 아닌 깍도요가 이곳에 오고요.”
일반적으로 여객기는 일정 무게 이하의 새는 엔진에 빨려 들어가도 출력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지만, 덩치 큰 새나 새떼는 예외다. 지난해 12월 김포발 제주행 제주항공 여객기가 조류충돌로 회항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공항공사는 김포공항 습지가 새들을 유인하기 때문에 습지를 밀고 골프장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발제한구역계획 변경 허가를 마치고 최근엔 국유지 사용 허가 절차를 기다리고 있다.
김포공항에서 조류충돌은 2008년 15건, 2009년 18건, 2010년 14건, 2011년 6건으로 감소 추세다. 이세걸 처장은 “오히려 습지가 새들을 묶어둬 공항 진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며 “주변에 한강과 서해 갯벌 그리고 먹이 공급원인 농경지(대장들녘)가 있기 때문에 골프장을 만든다고 철새가 사라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함영주 한국공항공사 컨세션사업팀장은 “조류충돌 횟수는 상황에 따라 바뀐다”며 “공항 주변 습지를 없애서 서식처를 옮겨주는 것이 오히려 새들에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 위험 감소 기준을 보면, 공항 반경 3~8㎞에 야생조류 보호구역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목장이나 수목원, 공원, 골프장은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2016년 완공 예정인 골프장이 현실화되려면 환경영향평가 등 숱한 논란을 통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무작정 보전하는 것이 아닌 일정 정도 관리하는 생태공원 등의 대안도 나오고 있다.
글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사진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 “강 건넜고 다리 불살랐다”
■ 중국, 첫 ‘항모’ 떴는데 날릴 비행기는 없다?
■ “우리 회사 팔아 세입 메우겠다는 건가요” 분통
■ 고리원전 소방대원들, 뇌물에 마약까지…
■ ‘짝퉁 복원’ 거북선, 바다 띄우면 물새고 ‘꼬르륵’
■ “기자가 소설 쓰니 소설가가 기사 쓴다”
■ [화보] 싸이, ‘강남스타일 신드롬’ 일으키며 입국
법정보호종만 25종
그러나 조류퇴치 작업으로
한해 2000마리가 죽어나가 공항공사는 비행 안전을 위해
27홀 규모 골프장을 지어
새를 내쫓아야 한다고 주장
환경단체는 습지가 되레
새의 공항진입 막는다고 반박 김포공항에 새들의 천국이 숨어 있다. 법정보호종만 25종이 산다. 불과 몇 년 만에 습지가 자랐고 새들이 몰려왔다. 새들은 서울시와 경기도 부천시 사이 대장들녘에서 낟알을 주워 먹는다. 한강에서 끌어온 동부간선수로(부둑천)가 도심 속 벌판을 흐른다. 가을 햇볕에 나락이 익고 습지를 오가는 백로가 목을 축인다. 들녘 한쪽에는 부천 덕산초등학교 대장분교도 숨어 있다. 새들이 사는 곳은 김포공항 습지다. 아직 이름이 붙지 않아 오곡동 습지(서울시 강서구 오곡동, 부천시 대장동 쪽), 고강동 습지(부천시 고강동 쪽)라고도 불린다. 습지는 대장들녘 동쪽, 김포공항 서쪽 담장을 따라 이어진다. 지난 5일 오후 이복식(2개 학년이 한 반) 수업을 하고 있는 대장분교에서 탐조를 시작했다. 대장들녘에서 김포공항 쪽으로 가자마자 처음 나타난 건 해오라기였다. 물까치가 나무 열매를 따먹고 황조롱이는 하늘에서 정지비행을 하면서 먹이를 찾고 있었다. 들어갈수록 수풀은 깊고 높아졌다. 도루박이(도로박이)와 줄, 부들은 어른 키가 넘었고 어떤 곳은 늪이 되어 있었다. 너구리 발자국 너머로 보이는 늪지 한가운데 흰뺨검둥오리가 숨어 있었다. 인기척이 들리자 오리들이 떼를 지어 비상했다. 백로들은 습지에서 떨어진 동부간선수로에 모여 있었다. 이날 오후에 본 새만 10종이 넘었다. 서울시립대 환경생태연구실과 서울환경운동연합 등이 2009년 6월부터 최근까지 조사한 결과를 보면, 황새·재두루미·독수리·쇠부엉이·오색딱따구리 등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서울시 보호종 등 법정보호종만 25종의 새가 산다. 어떻게 수도권 한복판에 ‘새들의 오아시스’가 생겼을까? 한국공항공사는 1989년부터 항공기 소음 민원 해소와 이착륙 안전을 위해 공항 주변 땅과 주택을 매입해 왔다. 2004년엔 1300억원을 들여 27홀 규모의 대중골프장(99만6000㎡)을 짓기로 했다. 2008년 농사가 중단되고 마을 사람들은 논을 두고 떠났다. 비가 온 뒤 묵정논은 둠벙이 되고 습지식물이 자라기 시작했다. 3~4년 만에 상전벽해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곳을 조사해 온 이세걸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이 말했다. “원래 습지였던 거죠. 그걸 개간해서 경작을 한 거고 버려두니까 다시 습지가 된 거예요.” 습지의 전형적 토양인 이탄층(지하수에 의해 죽은 식물이 썩지 않고 쌓인 곳)은 물을 잘 머금는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논을 버리고 떠나자마자 금세 자연습지가 된 것이다. 참깨밭에서 일하던 한선균(65)씨가 말했다. “너구리, 오소리도 살아요. 어, 저기 후투티 있네.”
김포공항 습지. 묵정논이 새들의 천국으로 변했다.
■ 안철수 “강 건넜고 다리 불살랐다”
■ 중국, 첫 ‘항모’ 떴는데 날릴 비행기는 없다?
■ “우리 회사 팔아 세입 메우겠다는 건가요” 분통
■ 고리원전 소방대원들, 뇌물에 마약까지…
■ ‘짝퉁 복원’ 거북선, 바다 띄우면 물새고 ‘꼬르륵’
■ “기자가 소설 쓰니 소설가가 기사 쓴다”
■ [화보] 싸이, ‘강남스타일 신드롬’ 일으키며 입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