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식회의만…위급상황 뒤늦게 인식
허술한 대응으로 주민 피해 키운꼴
화학분석차 출동시각도 ‘거짓 보고’
허술한 대응으로 주민 피해 키운꼴
화학분석차 출동시각도 ‘거짓 보고’
환경부가 구미 불산사고 발생 초기인 지난달 27~28일 유해물질 유출에 따른 위기 상황에서 열도록 돼 있는 자체위기평가회의를 제대로 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환경부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은수미 의원(민주통합당)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답변 자료에서는 “비상 상황인 관계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문서 없이 (자체위기평가)회의를 개최했고, 회의 결과를 장차관에게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이미 국감 과정에서 국립환경과학원의 특수화학분석차량 현장출동 시각을 실제보다 2시간 앞당겨 보고한 것으로 드러난 상태여서, 국회에 대한 허위보고 논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은 의원은 23일 “지난 16일 구미 불산사고와 관련한 대구지방환경청에 대한 오전 국감이 끝난 뒤 환경부 담당 국장이 찾아와 ‘상황이 이렇게 심각할 것으로는 생각하지 못해, 이 사고와 관련한 자체위기평가회의는 열지 않았다’고 털어놨다”고 말했다.
환경부의 ‘화학 유해물질 유출사고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을 보면, 화학 유해물질 유출에 따른 위기 경보 징후가 포착되거나 위기 발생이 예상될 때는 환경보건정책관이 화학물질과장, 환경보건정책과장, 수생태보전과장, 정책홍보팀장,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안전관리팀장이 참석하는 자체위기평가회의를 소집한 뒤 상황의 심각성과 확대 가능성 등을 고려해 경보 발령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위기 경보를 해제할 때도 자체위기평가회의를 열어 상황을 분석·평가한 뒤 해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은 의원은 “환경부가 상황을 심각하지 않게 보고 허술하게 대응해 주민 피해가 커졌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회석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은 “사고 초기 급박한 상황이어서 매뉴얼에 규정된 구성원이 모두 참석하는 자체위기평가회의를 열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화학물질과장과 실무자들을 불러 약식으로 자체위기평가회의를 열었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