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서천이 품은 ‘지구 생태계’…세계 5천여종 동식물 한자리

등록 2012-12-17 20:23

하늘에서 본 국립생태원 핵심 시설인 에코리움(생태체험관) 전경. 왼쪽 위에 직선 형태로 나란히 지어진 온실이 재배온실, 아래쪽에 곡선
형으로 지어진 온실이 전시온실이다.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 제공
하늘에서 본 국립생태원 핵심 시설인 에코리움(생태체험관) 전경. 왼쪽 위에 직선 형태로 나란히 지어진 온실이 재배온실, 아래쪽에 곡선 형으로 지어진 온실이 전시온실이다.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 제공
내년 개관 앞둔 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연구와 교육의 허브 구실을 할 국립생태원 조성 공사가 2007년 6월 건립계획이 확정된 지 5년 반 만인 지난 10일 마침내 준공됐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공식 개원은 국회에 계류중인 법인화 운영 관련 법안이 통과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환경부가 내년 예산에 시범운영비를 반영해 놓아 내년 초부터 초청 형식을 통한 학생 등의 단체 관람은 부분적으로 가능할 전망이다.

충남 서천군 장항역 옆 30만여평에 3400억원을 투입해 조성한 국립생태원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1급 보호종 36종과 2급 보호종 1192종을 포함한 열대식물 1134종, 사막식물 2076종, 지중해식물 886종, 온대·극지식물 225종 등 모두 4865종의 국내외 식물이 심어져 있다. 동물로는 지난달 국내에 처음으로 들어온 남극 펭귄인 젠투펭귄과 친스트랩펭귄을 비롯해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등 221종이 들어와 있다.

국립생태원은 식물이나 동물만을 전시하는 식물원이나 동물원과 달리 두가지를 종합해 놓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창석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장은 “기존 식물원들을 보면 식물을 분류군별로 몰아 놓고 있는데, 국립생태원은 자연의 숲을 그대로 재현하고, 그 안에 서식하는 동물들까지 한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며 “스위스 취리히의 마조알라 생태원에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국립공원 원시림을 꾸며 놓은 예가 있지만, 주요 기후대별로 대규모로 시도하기는 서천 국립생태원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장항역 옆 30만여평에 조성
에코리움의 온실 규모가
서울대공원 식물원의 6배
5대 기후대 자연 그대로 재현

국립생태원의 핵심 시설인 에코리움(생태체험관)의 온실 규모는 재배온실을 포함하면 모두 1만6744㎡로 서울대공원 식물원의 6배, 광릉수목원 열대온실의 4배에 이른다. 열대, 사막, 지중해, 온대, 극지 등 5대 기후대의 생태계로 꾸며진 에코리움에서 가장 규모가 큰, 바닥 면적 3000㎡, 높이 35m 규모의 열대관 온실은 인도네시아의 칼리만탄 지역을 중심 모델로 삼고, 아프리카와 중남미의 열대림을 일부 재현해 놓았다. 이 단장은 “맨 밑바닥의 초본에서부터 작은 키 나무, 중간 키, 큰 키 나무로 구성되는 식생의 80%를 재현했으며, 앞으로 100%에 가깝게 재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국립생태원 에코리움의 각 주제관 내부 모습. 왼쪽부터 열대관, 사막관, 극지관이다.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 제공
국립생태원 에코리움의 각 주제관 내부 모습. 왼쪽부터 열대관, 사막관, 극지관이다.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 제공
미국의 모하비와 아프리카의 나미브 등 다양한 사막을 모델로 삼은 사막관에는 물병나무와 조슈아트리, 사구아로 선인장 등 크고 작은 희귀한 선인장들이 눈길을 끈다. 허브향이 가득한 지중해관에는 유럽의 지중해 지역뿐 아니라 미국의 캘리포니아 연안, 남아프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중해성 기후 지역의 생물계까지 꾸며놓았고, 온대관에는 한반도 난대림의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제주도 곶자왈을 재현해 놓았다.

에코리움의 온실들에는 다 큰 나무보다는 활착이 잘될 수 있는 어린나무들이 주로 심어져 있다. 따라서 오래된 식물원처럼 울창한 모습을 기대하는 방문객에게는 다소 실망스러울 수도 있지만, 수목들이 자라면서 숲의 모습을 갖춰나가는 것을 지켜보는 또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시온실을 안내한 최봉수 환경연구관(식물담당)은 “열대 온실에 심어져 있는 나무들은 성장 속도가 매우 빨라 몇 년 안 가 밀림의 제 모습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야외에는 상록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 군락지로 이뤄진 한반도숲, 인공 풍혈과 지중냉풍장치 등을 도입해 백두산과 한라산 등의 고산생태계를 재현한 고산생태원, 묵논과 저수지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습지생태계를 재현한 습지생태원이 조성돼 있다. 습지생태원은 주 이용자인 야생 조류들의 ‘준공검사’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터 안에 있던 작은 방죽을 확대해 조성한 용화실못 생태습지에는 지난해부터 멸종위기종인 큰고니를 비롯한 철새들이 날아들기 시작했고, 올해 여름엔 원앙 한쌍이 못 가장자리 오동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고는 새끼를 부화해 식구까지 늘리는 데 성공했다.

생태원은 이밖에 멸종위기 동식물의 증식과 복원을 연구하면서 생물산업과의 연계를 모색할 복원생태관, 학생 등 단체 탐방객들에게 생태 관련 교육을 실시할 생태교육관 등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이들 시설은 고단열 벽체와 폐열회수 환기장치 등을 적용해 에너지가 일반 건축물의 25%밖에 들어가지 않게 지어졌다. 또 태양광과 지열, 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도 활용하고 있어 방문객들이 에너지 절약 기술을 체험하는 공간도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천/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