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4대강 재자연화포럼’ 발족
“4대강 문제 해결은 재자연화뿐”
문제점 제기·진상규명 등 활동서
사회적 동의위한 장기활동 병행
“4대강 문제 해결은 재자연화뿐”
문제점 제기·진상규명 등 활동서
사회적 동의위한 장기활동 병행
4대강 사업을 비판해온 환경단체들과 전문가들이 24일 ‘4대강재자연화포럼’(포럼)을 발족하고 4대강을 자연에 되돌려주는 방안을 마련해 사회적 동의를 얻어내려는 장기 활동에 들어갔다. ‘재자연화’를 내건 포럼 발족은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문제점 제기와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에 집중해온 환경단체 활동이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가는 것을 뜻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4일 오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연 ‘하천 복원의 국제적 동향과 4대강의 미래’ 토론회로 발족식을 갈음한 포럼에는 환경운동연합·녹색연합 등 주요 환경단체와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를 비롯한 4대강 사업 반대 전문가들이 주로 참여했다. 김정욱 서울대 명예교수가 대표를 맡았다.
포럼은 이날 발족 취지문에서 “4대강 사업이 물을 깨끗하게 하고 홍수를 막고 물부족을 해결하며 하천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주장은 완전히 거꾸로 나타났다. 강에 세운 인공 구조물은 날림공사로 보강공사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런 시설의 유지관리와 수질오염 관리에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간다”며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재자연화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선언했다.
포럼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재자연화’를 4대강을 가로막은 보를 철거한 뒤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강이 스스로 제 모습을 찾아가도록 하는 개념으로 제시했다. 4대강 사업 이전 상태로의 ‘복원’이 목표가 되면 토목공사가 중심되면서 또다른 훼손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정욱 대표는 “4대강을 이대로 두면 머지않아 분명히 큰일이 터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재자연화 이야기가 나올 것이다. 그런 문제가 나올 때를 대비해서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국민의 동의를 얻으려 한다”고 포럼 활동 방향을 설명했다.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4대강 사업의 책임 규명과 심판을 요구하는 활동도 계속해야 하지만, 이젠 4대강을 다시 살리기 위한 준비도 함께 해야 한다. 이번 포럼에는 4대강 사업 반대운동을 해온 사람들뿐 아니라 새로운 사람들도 참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럼 발족식을 겸해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한스 헬무트 베른하르트 독일 카를스루에대 교수와 일본의 환경단체인 국토문제연구회의 나카가와 마나부 사무국장한테서 독일과 일본의 하천 살리기 사례 발표를 들은 뒤 재자연화의 실행 방안은 물론 재자연화를 주도할 세력의 조직화 방안 등 구체적인 문제까지 꺼내놓고 활발하게 논의했다.
한봉호 서울시립대 교수(조경학)는 “시간이 지체될수록 재자연화가 어려워지니 문제가 있는 곳을 골라 빨리 시작할 필요가 있다”며 생물다양성과 안전 등을 고려해 강의 합수부와 하류에 있는 한강의 이포보, 낙동강의 창녕함안보 등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도시지역계획학)는 “4대강 사업에 대한 평가조차 제대로 안 되고 있는 상황에서 재자연화를 추진하려면 4대강 사업을 추진한 세력을 넘어서는 세력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어렵다”며 “각 지역의 하천살리기네트워크와 같은 풀뿌리 조직을 주체로 재자연화 세력을 만드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