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전 전담 조직 원자력안전위원회, 대통령과 상반된 주장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을 것”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을 것”
“체르노빌보다 더 심각한 핵재앙으로 이어질 것이다.”
“한국에 끼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
북한 영변 핵단지에서 사고가 났을 때 한국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을 두고 박근혜 대통령과 핵안전 전담 조직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서로 엇갈린 발표 가운데 어느 쪽이 사실에 가까울까?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 개막연설에서 “북한의 영변에는 많은 핵시설이 집중돼 있는데 한 건물에서 화재가 나면 체르노빌보다 더 심각한 핵재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발언을 두고 ‘잘못된 정보에 근거한 신중치 못한 발언’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한 달 전 원안위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최원식 의원(민주당)의 질의와 관련한 답변자료에서 이와 상반되는 예상을 한 사실이 25일 뒤늦게 확인됐다.
원안위는 지난달 18일 최 의원한테 제출한 ‘북한 영변 원자로 방사능누출사고 국내영향 예측’ 자료에서 “북한 영변 원자로에서 최악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원안위의 이런 예상은 과거 영국의 유사한 시설에서 발생한 사고를 참고해 보수적으로 평가했을 때조차, 영변 핵사고 때 서울에서의 연간 피폭선량이 8.4nSv(나노시버트ㆍ10억분의1시버트)로 한국의 자연 피폭선량 3mSv(밀리시버트)의 0.00028%, 일반인 선량 제한치 1mSv의 0.00084%로 나타난 사실에 근거를 둔 것이다.
원안위는 “전국 123곳에 실시간 환경방사선 감시기를 운영하고 있어 영변 원자로 사고로 국내에 영향이 있을 때 즉각적인 탐지가 가능(하고), 북한 영변 원자로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범정부적 위기관리체계를 바탕으로 철저히 대응해 국민안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원안위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하는데 대통령은 국제회의에 나가 체르노빌보다 더 큰 재앙이 올 수 있다고 하니 국민이 혼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이 정확한 근거에 기초하지 않은 신중치 못한 발언을 한 것인지, 원안위가 위험 평가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인지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조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