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의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안건 심의(12일)를 사흘 앞둔 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월성원전 1호기 수명 연장 반대 국민선언’에서 환경단체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월성 1호기 폐쇄를 촉구하는 선언문을 읽고 있다. 부모와 함께 회견에 참석해 “원전 말고 국민 안전” 등의 손팻말을 든 아이들이 눈길을 잡는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안건 심의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단체와 종교·학술·문화 등 각계 인사, 시민들이 9일 오전 서울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에서 동시 기자회견을 열고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핵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과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월성원전 1호기 수명 연장 반대 국민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수명이 끝난 월성 1호기의 폐쇄는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이다. 원안위는 국민적 요구를 수용해서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를 엄중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원자력 전문가들조차 월성 1호기는 최신 기술 기준이 반영되지 않아 안전성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다며 공개 토론을 요구하는 상황인데도 원안위가 충분한 토론과 의견 수렴 없이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문제를 강행 처리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짚었다.
온라인에서 진행된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반대 국민선언에는 환경·종교·학술·여성·법조·문화·노동 등 각계 인사와 월성 1호기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가는 울산 시민 7000여명 등 모두 1만3409명이 참여했다.
월성원전 주변 지역 주민들도 이날 경북 경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후쿠시마에서 폭발 사고를 일으킨 원전이 모두 30년 지난 노후 원전임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며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중단을 촉구했다. 아울러 경주시장한테는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반대 활동에 적극 나서고 주민투표를 실시하라는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핵없는 세상을 위한 대구시민행동도 경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월성 1호기 재가동 계획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경남탈핵연대 등은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월성 1호기 수명 연장은 국민 생명을 위협하는 시한폭탄을 고리 1호기에 이어 하나 더 만드는 것”이라며, 방재복과 방독면을 쓴 채 거리행진을 벌였다.
김정수 선임기자, 연합뉴스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