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위원장(왼쪽)과 위원들이 26일 오전 서울 광화문 케이티 본사 빌딩 내 원안위 회의실에서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허가’ 심의와 관련한 3차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환경연합 “수명연장 심의 원안위에
누출 위험없는 폐쇄계통으로 속여”
김무성 ‘고리1호기 폐쇄’ 시사 발언에
산업부선 “연장 신청조차 결정 안돼”
누출 위험없는 폐쇄계통으로 속여”
김무성 ‘고리1호기 폐쇄’ 시사 발언에
산업부선 “연장 신청조차 결정 안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킨스)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허가’ 심의에 참여하는 원안위 위원한테 월성 1호기의 구조와 관련해 거짓 보고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월성 1호기의 주증기 배관에 격리밸브가 없고, 감속재 정화 계통 등 배관 수십개가 2중 차단돼 있지 않아 사고 때 방사성 물질 누출 위험이 있다는 김익중 원안위 위원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에 킨스 쪽은 지금껏 “‘폐쇄계통’이라서 문제없다”고 답변해왔다고 밝혔다. 외부로 개방돼 있지 않아 사고가 나도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위험이 없다는 뜻이다. 1991년 새로 마련된 원전 안전기술기준(R-7)이 월성 2~4호기를 비롯해 다른 모든 원전에는 적용됐음에도 월성 1호기에만 적용되지 않았다는 일부 원전 전문가들의 지적에 대해서도, 킨스 쪽은 이들 시설이 R-7에서 예외로 인정한 폐쇄계통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답변해왔다.
하지만 킨스가 25일 장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한테 제출한 ‘월성 2호기 최종안전성 분석보고서’(FSAR)를 보면 1호기에서 폐쇄돼 있다고 한 계통이 모두 사고 때 방사성 물질 누출 위험이 있는 ‘개방계통’으로 명시돼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월성원전 1호기와 2호기는 같은 중수로 모델로 안전계통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월성 1호기에 대한 원자력안전기술원의 답변이 거짓이었음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월성원전 1호기의 재가동에 반대하는 경주 주민 100여명은 26일 오전 원안위가 월성 1호기 수명연장 허가 심의를 위한 3차 회의를 진행한 서울 광화문 케이티(KT)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월성 1호기 재가동 반대 뜻을 밝혔다. 이들은 한수원의 신규원전 부지선정위원회 활동으로 원안위 위원 자격 결격 논란이 일고 있는 조성경 원안위 위원의 월성 1호기 수명연장 심의 기피신청서를 원안위에 냈으나, 원안위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5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부산시 당정협의에서 “고리 1호기에 대한 정부 입장을 파악해 보니, 부산시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갈 것 같다”고 말해, 정부가 고리 1호기의 ‘폐로’ 방침을 정했음을 내비쳤다. 그러나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까지 한국수력원자력이 계속운전(수명연장) 신청 여부조차 결정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경주/김일우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