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수명연장’ 영향 갑론을박
한수원, 6월 재연장서류 제출 태세
부산시 “같은 잣대 안돼” 폐쇄 주장
한수원, 6월 재연장서류 제출 태세
부산시 “같은 잣대 안돼” 폐쇄 주장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경주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 연장을 결정하면서, 2017년 1차 수명 연장(10년) 기간이 끝나는 부산 고리원전 1호기의 수명 재연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월성 1호기의 연장 가동 결정이 고리 1호기의 수명 재연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예정대로 재연장 시한인 올해 6월까지 원안위에 관련 서류를 제출할 태세다.
부산시는 월성 1호기의 연장 가동 결정이 고리 1호기 수명 재연장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처음으로 수명을 연장하는 월성 1호기와 2007년 이미 수명 연장을 했던 고리 1호기는 위험도와 경제성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같은 잣대를 들이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부산시는 오히려 월성 1호기 연장 가동 결정으로 서병수 부산시장의 공약인 고리 1호기 폐쇄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보고 있다. 원안위가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결정에 대한 반발 때문에 고리 1호기 수명 재연장에 부담을 느끼게 됐다는 것이다.
부산·경남 의원을 중심으로 새누리당 안에서조차 폐쇄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부산 시민들의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다. 이 의원들은 다음주 국회에 ‘고리 1호기 폐로 촉구 결의안’도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부산시는 수명 연장 결정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경계를 풀지 않고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6개월 전부터 고리 1호기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이전과 다르게 감지되고 있지만, 폐쇄가 확정될 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서보미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