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의원 “실제 보고서와 달리
퇴적 우세로 써…준설 뒷받침용”
퇴적 우세로 써…준설 뒷받침용”
국토교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임진강 준설사업의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내용 일부가 준설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일부 조작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업은 파주시 문산에 있는 임진강 하중도인 초평도에서 하류 14㎞ 구간의 강 양안에서 흙모래 1020만㎥를 파내 홍수 소통량을 늘리려는 것이다. 환경단체들은 이를 ‘제2의 4대강 사업’이라 비판해 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5일 “이 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은 ‘한강 하류부 하상변동 조사 연구보고서(2005)’에서 인용했다며 ‘과업구간 내 2000년 대비 2004년 평균 변화량은 0.09백만㎥의 세굴, 2004년 대비 2005년 평균 변화량은 0.21백만㎥의 퇴적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검토되었음’이라고 했으나, 실제 연구보고서의 해당 부분은 ‘2000년 대비 2004년 세퇴차(세굴량과 퇴적량 차이)와 비교할 때, 대상 구간 내 변동은 거의 없었다고 볼 수 있음’이라고 돼있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실제 보고서는 하상변동이 거의 없었다고 강조했는데, 환경영향평가서에는 준설 필요성을 뒷받침하려고 퇴적이 우세한 것으로 조작돼 있다는 지적이다. 환경부에 제출된 전문가 검토의견서도 이 대목과 관련해 “이런 인용은 연구보고서의 내용 및 수치를 왜곡해 인용한것이어서 반드시 정정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심 의원은 “전문가 검토의견서를 보면 임진강 준설사업은 불필요하고 오히려 홍수 위험을 증대시킨다는 사실도 확인된다”며 “국토부와 환경부는 사업 추진을 중단하고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업체를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