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정주항에서 남방큰돌고래 태산이가 크레인으로 매달려 가두리로 갈 어선에 옮겨지고 있다. 제주/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토요판] 생명
남방큰돌고래 고향 가는 날
남방큰돌고래 고향 가는 날
▶ 윗부리가 잘린 태산이(수컷·20살 추정)와 입이 비뚤어진 복순이(암컷·17살 〃)는 제돌이의 유명세에 가려 잊힌 남방큰돌고래들입니다. 2009년 불법포획됐으나 우울증 성향과 신체적 조건으로 야생 방사되지 못하고 서울대공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시민단체의 요구와 해양수산부의 결정으로 태산이, 복순이가 14일 제주 함덕 앞바다 가두리로 옮겨졌습니다. 야생 환경에 하루빨리 적응해 먼저 야생에 돌아간 제돌이와 친구들을 만나길 기원합니다.
남방큰돌고래 태산이와 복순이는 ‘스테이셔닝’(stationing)을 잘 하지 않는다. 스테이셔닝이란 돌고래가 인간을 보면 습관적으로 물가로 다가와 명령과 먹이를 기다리는 행동이다. 야생에서 잡힌 돌고래가 처음 배우는 동작이 스테이셔닝이다. 이 동작을 하지 못하면, 사육사가 명령을 내릴 수도, 수의사가 체온을 잴 수도 없다. 스테이셔닝은 역설적이지만 돌고래가 자신의 몸을 내줌으로써 수족관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기본동작이다. 태산이와 복순이는 길들여지길 거부했다.
14일 새벽 5시30분, 경기도 과천의 서울대공원. 돌고래 사육사들은 제 몸을 내주지 않는 태산이와 복순이를 잡기 위해 애를 먹어야 했다. 태산이, 복순이가 고향인 제주 앞바다로 돌아가는 날이었다. 무진동 화물차량을 타고 인천공항까지, 아시아나항공 화물전세기에 실려 제주공항까지, 다시 화물차를 타고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에 도착해 어선에 올라 200m 바다 밖 가두리까지 이어지는 550㎞, 9시간의 긴 여정을 앞뒀다.
복순이가 먼저 포획됐다. 사육사 여럿이 몸통을 부여잡은 채 가까스로 진정제 주사를 놓자 유순해졌다. 들것에 실려 야외로 나왔을 때 복순이는 눈을 부릅뜨고 있었다. 푸우, 푸우. 숨 쉬는 소리가 크게 들렸다. 그다음 포획되어 나온 태산이는 연신 뒤척이고 요동쳤다. 피이, 피이. 태산이가 낸 풀피리 같은 소리가 아침을 깨우는 새소리와 섞였다. 사육사들은 연신 소방호스로 물을 뿌려줬다. 2013년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에 이어 야생방사 사육 실무를 맡은 박창희 서울대공원 사육사는 “돌고래가 물 밖에서 오랜 시간 노출되면 사람이 화상을 입듯이 안 좋아진다. 가두리에 갈 때까지 계속 물을 뿌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공항으로 가는 화물차에 태우기까지 두 시간이 걸렸다. 시동을 걸기 전, 사육사들은 태산이, 복순이를 떠나보내는 기념사진을 찍고 박수를 쳤다. 2013년 3월 불법포획에 따른 대법원의 몰수 결정으로 서울대공원에서 보호를 받은 지 2년 만에 사육사들의 손을 떠난다. 제돌이를 따라 야생으로 돌아간 춘삼이, 삼팔이와 달리 건강이 안 좋아 서울대공원으로 옮겨진 태산이, 복순이다. 먹이조차 거부하는 극단적인 무기력증은 일부 수족관 개체들에게 나타나는 ‘돌고래 우울증’(captive dolphin depression syndrome)으로 보였다. 동물보호단체인 동물자유연대가 지난해 12월부터 활어급여를 하며 핫핑크돌핀스와 함께 야생방사를 요구했고, 해양수산부가 2억원을 들여 야생방사를 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두 돌고래는 두 달 동안의 활어급여 과정에서 먹이사냥에 성공해 야생적응 가능성을 보여줬다.(<한겨레> 2월28일치 3·4면)
“처음에 데려올 때는 워낙 상태가 안 좋아서 걱정 많이 했어요. 2년을 노력했으니 좋은 결과가 나오겠지요. 태산이, 복순이가 아직까지 잘 버텨주고 있어서 다행이죠.”
출발 준비를 끝낸 박창희 사육사가 말했다. 푸우, 푸우, 돌고래 분수공의 숨 쉬는 소리가 아침 동물원을 울렸다.
극단적 무기력증, 조련 거부하던
남방큰돌고래 태산이와 복순이
14일 제주 함덕 앞바다에 닿았다
아스라한 수평선, 봉긋 솟은 한라산
6년 만에 다시 찾은 고향이다 태산이, 복순이까지 합치면 5마리
야생관리에서 동물복지 관점 도입한
돌고래 야생방사는 대세가 됐다
해수부 나서면서 국가적 사업으로
전시·공연용 포획 금지하는 일 남았다 6년 만에 만난 제주 앞바다 제주 바다는 하얀 구름을 머금고 있었다. 태산이, 복순이가 야생적응훈련 가두리가 있는 제주시 함덕리에 도착한 건 오후 3시께. 고래연구소의 김현우 연구원 등이 두 돌고래의 등지느러미에 위성위치추적장치(GPS)를 달았다. 아르고스(ARGOS) 인공위성이 두 돌고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2013년 제돌이 야생방사 때에는 얼마 안 돼 떨어져나가 무용지물이었다. 김현우 연구원이 함박웃음을 지으며 화물차에서 뛰쳐나왔다. “잘 달았어요. 태산이, 복순이가 얌전하게 있었습니다.” 화물차 문이 열렸다. 태산이가 크레인에 매달려 천천히 날았다. 몇 년 만에 본 제주 바다인가. 6년 전 초여름 그물에 걸리기 전 점프를 하며 마지막 봤던 아스라한 수평선과 한라산이 크레인 밑 4미터 창공에서 펼쳐졌다. 갯내음이 났고 까슬까슬한 바닷바람의 촉감이 느껴졌다. 태산이가 눈을 껌벅였다. 100여명의 기자, 구경꾼들이 올려다보고 있었다. 태산이가 무사히 어선에 옮겨지자, 복순이도 크레인을 타고 하늘을 날았다. 복순이는 고개를 흔들며 피이, 피이 풀피리 소리를 냈다. 끼룩끼룩 갈매기가 울었다.
남방큰돌고래 야생방사는 ‘야생보전’과 ‘동물복지’를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야생보전 측면에서 보자면 인간은 ‘지구환경의 관리자’다. 종 다양성을 위해 야생동물의 멸종을 막아야 한다. 제주 연안에서 100여마리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는 멸종위기에 빠져 법적으로 보호받는 ‘보호 대상 해양생물’이다. 지역적 멸종을 막기 위해 적어도 불법포획돼 공연 중인 돌고래는 고향으로 되돌려보내야 한다는 게 야생보전론이다. 야생보전 담론에서는 농장동물이나 ‘비멸종위기종’ 야생동물보다 ‘멸종위기종’ 야생동물이 더 중시된다.
야생보전이 그동안 환경정책과 환경운동의 주류 담론이었다면, 동물복지(동물권)는 20세기 후반에야 본격적으로 정책에 반영되고 있다. 이 담론에서 인간은 지구환경의 관리자보다는 ‘동물의 고통에 공감하는 존재’에 가깝다. 생명의 가치에서 동물을 접근하기 때문에, 야생동물과 비야생동물, 멸종위기종과 비멸종위기종의 가치는 원칙적으로 같다. 최고 시속 16~19㎞로 최소 200㎞의 이동영역을 갖는 남방큰돌고래를 좁은 콘크리트 풀장에 가두는 행위는 동물에게 어마어마한 고통을 주기 때문에, 돌고래 전시·공연은 우선적으로 폐지해야 한다.
제돌이의 야생방사를 지방정부인 서울시가 주도했다면, 태산이, 복순이의 야생방사는 중앙정부인 해양수산부가 나섰다. 해양수산부 송상근 해양정책관도 12일 보도자료에서 “복순이, 태산이의 성공적인 방류는 최근 제기되고 있는 동물복지와, 인간과 동물의 공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야생동물 관리에서 동물복지적 관점을 국가사업에 수용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그러나 돌고래 전시·공연과 관련한 법·제도는 정비되지 않은 상태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15일 “해양수산부 소관 ‘고래 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고시’를 보면 여전히 전시·공연용 포획을 정부 허가 아래 할 수 있도록 했다. 태산이, 복순이를 정부 주도로 방류한 만큼 포획 조항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제껏 정부 허가에 따라 전시·공연용 포획이 이뤄진 적은 없다. 2012년 제주의 돌고래공연업체 퍼시픽랜드가 동해의 낫돌고래 포획 허가를 신청했으나, 남방큰돌고래 불법포획 논란이 거세지면서 당시 주무부서인 농림수산식품부는 허가를 미뤘다. 2013년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에 이어 태산이, 복순이도 대중의 관심 속에 잇달아 바다로 돌아가게 됨으로써, 정부가 앞으로도 포획 허가를 내주기는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일부 돌고래공연업체는 일본 다이지에서 큰돌고래를 1억원가량을 주고 수입하느니, 동해에 3000마리 사는 낫돌고래를 순치해 이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늘 아주 잘됐다”
태산이와 복순이를 실은 배가 함덕 앞바다 가두리에 도착했다. 남방큰돌고래가 지나다니는 길목인 이곳은 두 돌고래가 산 생선을 사냥하면서 야생적응훈련을 할 장소다. 박창희 사육사와 선주동 사육사가 가두리 안 바다에 뛰어들어 들것에 실린 돌고래를 받았다. 복순이는 노끈이 지느러미에 꼬여 한참을 고생했다. 그러나 결국 첨벙. 태산이도 첨벙. 6년 만에 만져본 파도였다. 지름 22미터밖에 되지 않는 좁은 가두리지만, 6년 만에 만난 가장 넓은 삶터였다. 두 돌고래는 6년 만에 가장 활달하게 헤엄을 쳤다. 냉동 생선 3㎏을 던져주자 남김없이 먹어치웠다.
‘수족관의 몸’에서 ‘야생의 몸’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이제 태산이와 복순이는 차가운 바닷물, 거친 파도와 비바람 그리고 뜨거운 태양에 적응해야 한다. 하루 서너 차례 주는 산 생선도 쫓아가 잡아먹어야 한다. 고래연구소는 가두리 안에 수중청음장치를 달아 태산이, 복순이와 주변을 지나다니는 야생 남방큰돌고래의 의사소통 등 소리 반응을 살펴보며 두 집단이 어떤 교감을 나누는지 지켜볼 참이다. 먼저 야생으로 돌아간 제돌이가 찾아와 태산이와 복순이를 소리쳐 부를 수 있을까.
최종적으로 야생적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가두리의 문이 열린다. 바다에 나가는 시기는 이르면 6월 말 7월 초로 예상된다. 김현우 연구원은 “야생바다에 들어가자마자 경계하면서 싱크로나이징(몸을 서로 붙이고 뛰는 행동)을 했지만, 이내 긴장을 풀고 자유스럽게 헤엄쳤다. 오늘 아주 잘됐다”고 말했다. 태산이, 복순이가 빠지면서 국내 수족관 돌고래는 48마리에서 2마리 줄어서 46마리가 되었다. 이 중에 야생에서 잡혀온 남방큰돌고래는 3마리(서울대공원 금등·대포, 퍼시픽랜드 비봉)다. 제주 앞바다에서 불법으로 잡혔으나, 공소시효가 넘어 몰수되지 않은 돌고래들이다.
제주/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남방큰돌고래 태산이와 복순이
14일 제주 함덕 앞바다에 닿았다
아스라한 수평선, 봉긋 솟은 한라산
6년 만에 다시 찾은 고향이다 태산이, 복순이까지 합치면 5마리
야생관리에서 동물복지 관점 도입한
돌고래 야생방사는 대세가 됐다
해수부 나서면서 국가적 사업으로
전시·공연용 포획 금지하는 일 남았다 6년 만에 만난 제주 앞바다 제주 바다는 하얀 구름을 머금고 있었다. 태산이, 복순이가 야생적응훈련 가두리가 있는 제주시 함덕리에 도착한 건 오후 3시께. 고래연구소의 김현우 연구원 등이 두 돌고래의 등지느러미에 위성위치추적장치(GPS)를 달았다. 아르고스(ARGOS) 인공위성이 두 돌고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2013년 제돌이 야생방사 때에는 얼마 안 돼 떨어져나가 무용지물이었다. 김현우 연구원이 함박웃음을 지으며 화물차에서 뛰쳐나왔다. “잘 달았어요. 태산이, 복순이가 얌전하게 있었습니다.” 화물차 문이 열렸다. 태산이가 크레인에 매달려 천천히 날았다. 몇 년 만에 본 제주 바다인가. 6년 전 초여름 그물에 걸리기 전 점프를 하며 마지막 봤던 아스라한 수평선과 한라산이 크레인 밑 4미터 창공에서 펼쳐졌다. 갯내음이 났고 까슬까슬한 바닷바람의 촉감이 느껴졌다. 태산이가 눈을 껌벅였다. 100여명의 기자, 구경꾼들이 올려다보고 있었다. 태산이가 무사히 어선에 옮겨지자, 복순이도 크레인을 타고 하늘을 날았다. 복순이는 고개를 흔들며 피이, 피이 풀피리 소리를 냈다. 끼룩끼룩 갈매기가 울었다.
뜨거운 햇볕 아래 가두리로 갈 어선에 올라탄 복순이의 눈에 눈물이 흐르고 있다. 제주/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