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대기오염 개선 ‘무신경’
의무구매율 30% 지킨 기관 23%뿐
의무구매율 30% 지킨 기관 23%뿐
경찰청·대통령실 등 공공기관들이 대기오염을 덜어주는 저공해 자동차 구매를 등한시해 구매율이 2012년 이후 2년 연속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계속 떨어지던 수도권 미세먼지 오염도가 2012년을 고비로 반등하면서 대기오염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은 더욱 높아졌으나 공공기관들은 거꾸로 간 셈이다.
28일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지난해 수도권에서 자동차를 새로 구입한 180개 정부기관·지방자치단체·공사·공단 등을 대상으로 저공해 자동차 구입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이들 공공기관이 구매한 2318대 가운데 16.1%인 208대가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저공해차인 것으로 집계됐다. 저공해차 구매율은 2013년(16.5%)보다 낮고, 2012년(30.2%)에 비하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180개 공공기관 가운데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 특별법’에 따른 저공해차 의무 구매비율 30%를 지킨 기관은 22.8%인 41개에 불과했다.
지난해 20대 이상 대량으로 자동차를 구입한 정부기관 가운데 저공해 자동차 구입에 무신경했던 대표적 기관은 경찰청과 법무부였다. 경찰청은 신차를 745대나 사들이면서 저공해차는 단 1대 구입했고, 법무부는 30대 가운데 2대만 저공해차로 구입했다. 새 차를 4대 이하 소량 구입한 정부기관들 가운데는 대통령실·검찰청·행정자치부·보건복지부·해양수산부 등이 저공해차를 단 한 대도 선택하지 않아 구매율 0%를 기록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