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시민단체 및 고리원전 1호기를 가까이 두고 있는 주민들이 잦은 고장을 일으키고 있는 고리원전 1호기의 영구 정지(폐쇄)를 권고한 국가에너지위원회의 결정을 크게 반겼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12일 국가에너지위원회의 고리원전 1호기 영구 가동 중지 권고 결정이 나온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낡은 원전을 영구 정지하는 것만이 대한민국과 부산의 미래를 위해 가장 빠르고 유일한 길이라는 점을 확인한 정부의 결단에 부산시민들은 환영의 박수를 보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결정은 고리원전 1호기 폐쇄 범시민운동본부를 중심으로 부산시민들이 하나로 뭉쳐 이뤄낸 역사적인 산물이다. 고리원전 1호기가 완전히 폐쇄되려면 18일까지로 예정된 한국수력원자력의 재연장 신청 포기 절차가 남았지만 현명한 결정이 곧 뒤따를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부산시는 국가에너지위원회의 권고 결정이 사실상 고리원전 1호기의 영구 폐쇄를 의미한다고 판단하고 울산시와 공조해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현재 6기가 가동중이고 앞으로 4~6기가 추가로 들어서면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이 되는 부산과 울산에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를 세워서 2050년까지 1000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세계원전해체기술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2019년까지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며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중이다. 또 전국 8개 시·도가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고리원전 1호기 폐쇄 운동을 본격적으로 벌여온 시민단체들도 37년 만에 고리원전 1호기의 가동 중단을 권고한 국가에너지위원회의 결정을 크게 환영했다.
최수영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원전 폐로를 결정한 것은 역사적 의미가 있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사회적 수용성 등을 고려해 설계수명이 끝나가는 다른 원전들의 폐로 여부도 결정해야 한다. 그것만이 땅에 떨어진 한국수력원자력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이다”고 말했다.
고리원전 1호기가 위치한 부산 기장군 장안읍 발전위원회의 조창국(50) 위원장은 “고리원전 1호기 폐쇄 권고를 진심으로 환영한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빨리 고리원전 1호기 폐로 계획을 발표하고 원전 폐로 사업을 국가 핵심 사업으로 키울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을 집단 이주를 요구하고 있는 고리원전 근처 길천마을의 이용암(68) 이주대책위원장은 “정부나 한국수력원자력은 주민들이 불안하지 않도록 고리원전 1호기 폐로 결정을 하고, 폐로 뒤 해체하는 절차와 방법, 기간, 위험성, 원전 해체 기술력 보유 여부 등을 빨리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리원전 1호기는 1978년 상업 가동 이후 지금까지 130차례 고장·사고가 났다. 현재 가동중인 국내 원전 23개가 지금까지 일으킨 691차례 고장·사고의 19%를 차지한다. 고리원전 1호기는 국내 발전시설 총용량의 0.6%를 차지한다. 고리원전 1호기는 30년 설계수명으로 지었으나 한국수력원자력은 2010년 10년 연장 가동 승인을 받았다. 이어 연장 가동이 끝나는 2017년 6월 이후 10년 추가 가동을 위해 이달 18일까지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서류를 제출할 예정이었다. 부산/김광수 김영동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