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케이블카 건립을 반대하는 박그림 설악산 녹색연합대표, 조현철 신부, 박성율 목사 등 10여 명이 지난 10일 새벽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남설악탐방지원센터를 출발해 대청봉으로 향하고 있다. 김봉규 기자bong9@hani.co.kr
케이블카반대범대위서 지적 나와
“단선식인데다 지주 간 거리 멀어
초속 15m 바람에도 쉽게 진동 발생”
공원위 28일 공원계획 변경안 심의
“단선식인데다 지주 간 거리 멀어
초속 15m 바람에도 쉽게 진동 발생”
공원위 28일 공원계획 변경안 심의
강원도 양양군이 추진하는 설악산 케이블카의 지주 간 거리가 너무 멀어 돌발 강풍 때 통제 불능 상태에 빠져 탈선할 수 있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제기됐다.
케이블카 전문가인 이경건 한오삭도연구소 대표는 25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자연공원케이블카반대범국민대책위원회의 케이블카 관련 기자설명회에 나와 “설악산에 단선식 케이블카를 설치하면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도 2선식 케이블카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점 때문에 양양군은 단선식을 고집하고, 환경부는 이에 침묵하고 있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단선식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 한 가닥에 케이블카를 매다는 방식이다.
이 대표는 설명회 뒤 <한겨레>와 전화 통화에서 “단선식 케이블카는 옆 바람에 취약해 경간(지주 사이 거리)이 500m를 넘으면 초속 15m의 바람에도 쉽게 진동이 발생해 위험할 수 있다”며 “양양군이 제안한 케이블카 사업 계획은 유럽연합(EU)에서는 허용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9개의 지주로 연결되는 양양군의 설악산 케이블카는 2번째 지주부터 6번째 지주 사이의 경간이 각각 543m·610m·647m·823m이며, 초속 15m의 바람은 설악산과 같은 지역에서는 예보없이 돌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대표는 “케이블카는 탈선 감지장치가 있어서 탈선하기 전에 자동으로 멈추지만 양양군이 계획한 케이블카에는 경간이 500m 넘는 구간이 4개 연속으로 이어지고 800m가 넘는 곳도 있어, 최악의 경우 탈선할 우려가 크다. 양양군이 초속 25m까지 운영할 수 있다고 한 것은 명백한 허위”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전남 해남 두륜산 케이블카와 경남 통영 한려수도조망 케이블카 등의 설계·설치에 참여했으며, 현재 경남 사천 바다케이블카 사업 실시설계 용역을 맡고 있는 케이블카 전문가다.
한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25일 보도자료를 내어 “환경부의 ‘자연공원 삭도 설치·운영 가이드라인’이 이번에도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 2012년과 2013년 양양군이 제출한 설악산 케이블카 계획을 주요 봉우리와 멸종위기종 서식처를 피하도록 한 이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부결시킨 바 있다. 국립공원위원회는 28일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을 위한 공원계획 변경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