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정부에 하구둑 개방 요구
“녹조 심각해 식수원 위협받아”
“녹조 심각해 식수원 위협받아”
부산시가 정부에 낙동강 하류에 있는 하굿둑(댐) 수문의 완전 개방을 촉구하고 나섰다. 32년 전에 350여만명의 부산시민 식수원 확보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수문이 되레 생태계 교란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부산시의 주장을 받아들여 국토교통부가 수문의 전면 개방에 나설지 주목된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23일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2025년까지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완전히 개방하라”고 촉구했다. 낙동강 하굿둑과 4대강 사업 때 설치한 보 때문에 낙동강 하류지역의 호소화(강이 호수와 늪으로 변하는 현상)가 가속돼 물고기가 폐사하고 녹조류의 번식이 심각해 부산시민의 식수원이 위협을 받고 있으므로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24시간 개방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 시장은 낙동강 하굿둑 수문 전면 개방 일정(로드맵)을 제시했다. 내년 12월까지 시비 180억원을 들여 낙동강 하굿둑으로부터 상류 8㎞지점에 있는 공업용수 정수장 시설을 30㎞지점의 덕산정수장으로 옮겨 2017년 1월1일부터 낙동강 하굿둑을 부분 개방하자고 했다. 이어 2025년까지 낙동강 물을 끌어들여 화명·명장정수장으로 보내는 경남 양산시 물금취수장과 덕산정수장으로 보내는 경남 김해시 상동면 매리취수장을 낙동강 중류의 경남 창녕함안보 근처까지 옮겨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24시간 완전 개방하자고 제안했다.
부산시가 낙동강 하굿둑 수문의 전면 개방을 주장하자 어민들은 반겼다. 바닷물이 하류에서 상류로 수시로 올라오면 강바닥에 오랫동안 쌓였던 나쁜 퇴적물이 정화되고 녹조류가 사라져 어류 생태계가 복원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와 달리 농민들은 반대하고 나섰다. 24시간 바닷물이 역류하면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가 없고 만조 때 농경지가 침수하거나 강 아래와 맞닿아있는 논과 밭으로 바닷물이 스며들어 농작물이 제대로 자랄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낙동강변의 농경지는 5164㏊이며 6000여 농가 1만8000명이 농사를 짓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04년과 올해 8월 두 차례 환경부를 통해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관련한 용역을 두 차례 끝냈는데, 용역기관은 농경지 피해 등의 대책 수립을 전제로 조건부 개방 의견을 냈다. 이에 부산시는 피해 농민 대책과 취수원 대책, 환경 생태계 복원 등 구체적인 과제가 포함된 3차 용역을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설승수 부산시 환경보전과장은 “상수도사업본부의 식수를 농업용수로 제공하고 차단벽을 설치하면 농경지 피해는 예방할 수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