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해물질 검출 논란 우레탄트랙 위해성 관리 개선대책 마련
기준치 이상의 유해물질이 잇따라 검출돼 안전성 우려를 불러일으킨 우레탄트랙에 강화된 KS 기준이 적용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면 철거된다.
정부는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9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우레탄트랙 위해성 관리 개선대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개선대책을 보면, 정부는 ‘유럽 어린이 제품 안전기준’ 등을 검토해 현행 우레탄트랙 관련 유해물질 관리 대상과 기준을 확대·강화하고, 이 기준을 초과하는 시설은 전면 교체할 계획이다.
우레탄트랙은 2002년부터 생활체육 활성화 등을 위해 각종 시설에 설치돼 왔으며, 정부가 지난 3월부터 우레탄트랙이 설치된 전국 2763개 초·중·고를 대상으로 현행 KS기준에 따라 위해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64%인 1767개 우레탄트랙에서 유해물질(납)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정부는 기존 조사에서 현행 KS기준을 초과한 시설중 마사토로 교체를 희망하는 학교는 우선 교체하고, 우레탄트랙으로 교체를 원하는 경우 강화된 KS기준에 적합한 제품으로 교체할 방침이다. 또 기존 조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학교도 강화된 기준에 따라 재조사를 실시해, 기준를 초과하는 경우 교체해 나가기로 했다. 공공체육시설과 공원 등의 우레탄 트랙에 대해서도 강화되는 유해물질 관리 기준에 따라 실태조사를 실시한 뒤 기준치를 초과한 시설은 신속히 교체하기로 했다.
정부 조사 결과, 우레탄 트랙은 전국 2763개 초·중·고교, 종합운동장과 축구장 등 982곳의 공공체육시설, 도시공원이나 하천변 등 1만8491개 지자체 시설,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의 1만9335개 어린이 놀이시설에 설치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