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가스 저감장치 소프트웨어를 불법 조작한 폴크스바겐 경유차에 대한 리콜이 국내에서도 시행된다.
환경부는 폴크스바겐의 티구안 2개 모델(2.0 TDI와 2.0 TDI BMT) 2만7010대에 대한 리콜계획을 승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홍동곤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폴크스바겐이 전국 31개 서비스센터에서 준비가 마무리되는 다음달 6일부터 리콜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리콜계획은 실내 인증 조건에서만 작동하도록 설정된 ‘배출가스 재순환장치’가 실제 도로주행 조건에서도 작동하도록 수정하고, 연소 효율과 차량 성능을 높이기 위해 연료 분사압력과 분사방식을 변경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소프트웨어 교체로 이뤄진다.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가 소프트웨어 교체 차량의 성능과 오염물질 배출량을 확인한 결과,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실내에서 28~59%, 도로에서 20~33% 줄어드는데도 가속·등판 능력에 큰 변화가 없었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교체 전후 연비 비교 시험에서도 실내 공인연비에는 변동이 없고 도로주행 연비만 1.7%의 감소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2015년 9월 미국에서 ‘디젤 게이트’가 불거진 것을 계기로 국내 판매 차량 조사에 나서, 같은 해 11월 아우디·폴크스바겐 15개 모델 12만5515대에서 같은 형태의 조작이 이뤄진 사실을 확인하고 인증취소와 판매정지, 과징금 부과 조처를 내렸다. 폴크스바겐은 141억원의 과징금 납부까지는 이행했으나, 배출가스 불법 조작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부실한 리콜계획서를 거듭 제출한 탓에 환경부의 승인을 받지 못해왔다. 환경부는 나머지 13개 모델 9만8505대는 앞으로 5개 그룹으로 나눠 리콜계획서를 받아 검증할 계획이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티구안 소유자들에게 무상 리콜 방법에 대한 안내문을 보내기로 했다. 리콜로 차량을 이용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중교통비 지급이나 교통편의 제공 등을 할 예정이다. 요하네스 타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총괄사장은 “이번 리콜을 시작으로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폴크스바겐·아우디 브랜드의 상당수 모델의 국내 판매가 중지된 상태다.
그러나 폭스바겐코리아는 다른 보상 계획은 없다고 했다. 폴크스바겐은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환매·수리와 별도로 소유자들에게 5100달러~1만달러(약 1180만원) 규모의 보상 계획을 밝혔다. 미국에서는 500달러의 현금 보상 및 500달러어치의 수리보상 서비스를 담은 ‘굿윌 패키지’를 시행 중이다. 폭스바겐코리아는 2월부터 시행하는 100만원어치의 수리 서비스 제공(‘위케어’ 캠페인)은 배출가스 조작 사태와 무관하다고 밝혔다.
김정수 선임기자, 고나무 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