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급속 충전소로 탈바꿈된 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있는 한 공중전화 부스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모습. 연합뉴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지급하는 지자체의 절반 가량에서 보조금 신청 접수가 3주 만에 마감되는 등 올해 전기차 구매 열기가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16일 올해 전기차 보조금 신청 대수가 접수 시작 3주 만인 15일 현재 1200대를 넘어섰으며, 신청 접수를 시작한 72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33곳에서는 이미 접수가 마감된 상태라고 밝혔다. 올해 전기차 보조금 신청 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300대에 비해 4배 가량 많은 것이다.
이미 접수가 마감된 지자체는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시, 용인시, 안산시, 안양시, 남양주시, 시흥시, 화성시, 김포시, 양주시, 안성시, 동두천시, 춘천시, 홍천군, 평창군, 청주시, 제천시, 전주시, 군산시, 남원시, 완주군, 장수군, 임실군, 부안군, 화순군,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문경시, 경산시, 청도군, 성주군, 통영시 등이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전기차 1대당 1400만원의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별로 최저 300만원에서 최고 1200만원에 이르는 지방 보조금으로 구성된다. 환경부는 올해 1만4000대분의 보조금 예산을 세워놓은 상태다.
전기차 구매 열기는 올해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원을 처음 시작한 곳에서 특히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접수가 마감된 33곳 가운데 27곳이 올해부터 전기차 보급 사업을 처음 시작한 지자체라는 점에서 잘 나타난다. 환경부는 청주시에서는 보조금 신청을 위해 70여명의 시민들이 밤새 줄을 서는 진풍경이 빚어지기도 했고, 세종시와 용인시에서는 보조금 접수 시작과 동시에 신청이 마감되는 등 전기차 구매 신청이 급증했다고 소개했다.
올해 전기차 보조금 신청 속도가 빨라진 것은 전기차 보조금을 지원하는 지자체 수와 지방 보조금 금액 증가와 함께 충전요금 인하, 충전 인프라 확충, 주차료 감면 등의 인센티브 강화로 전기차 운행 여건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전기차 보조금을 지원하는 지자체는 지난해 31곳에서 올해 101곳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또 지자체별 지방 보조금 단가는 지난해 평균 430만원에서 올해 545만원으로 115만원 늘었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조금 신청이 마감된 지자체와 전기차 보급 사업을 실시하지 않는 지자체에 대해 전기차 보급을 위한 추가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형섭 환경부 청정대기기획티에프(T/F) 팀장은 “올해부터는 전기차 보조금 예산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것”이라며, “전기차 수요가 많은 지자체에 국고보조금 예산을 추가로 배정하고 급속충전기 설치도 늘려 올해 보급목표인 1만4000대를 조기에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