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강원 원주 치악산 드림랜드에서 만난 호랑이 크레인. 안면기형 때문에 얼굴이 부은 것처럼 보였다. 남종영 기자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날이었다. 크레인을 보러 가는 길이었다. 2012년 11월12일 강원 원주시의 치악산 드림랜드. 이제 하루 입장객이 두 자리 수도 되지 않는 쓸쓸한 동물원에 크레인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서다. 그 호랑이가 크레인인지 확신은 없었다. 그저 사진을 주고받으면서 크레인 아닐까 추측을 했을 뿐.
크레인은 황윤 감독의 동물원 다큐멘터리 ‘작별’(2001년)에 나왔던, 시베리아호랑이도 벵갈호랑이도 아닌 ‘서울대공원 호랑이’다. 크레인은 근친번식으로 태어났다. 동물원 관리가 제대로 안 되던 시절이었다. 근친번식 때문인지 어렸을 때부터 병약했고 안면에도 기형이 있었다. 결국 크레인은 서울대공원의 ‘인기 동물'이 될 수가 없었다. 2004년 원주의 테마파크 동물원 치악산 드림랜드로 이송됐다.
크레인이 원주 드림랜드에 있다는 걸 알게 된 것은 황윤 감독이 2011년 블로그에 쓴 옛 글을 우연히 보게 되면서다. 영화 ‘작별’의 촬영을 마치고 치악산 드림랜드에 찾아가 크레인을 봤다고 했다. 그리고 5년이 흘렀고 막상 크레인을 위해 해 준 일이 없다는 사실이 너무 많이 미안하다고 했다. “그 사이 이미 하늘나라로 갔을지도 모르겠다”며 “너무 늦기 전에 크레인을 다시 찾아가봐야겠다”고 썼다.
몇년째 치악산 드림랜드는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었다. 한 시간도 안 되는 거리에 있는 에버랜드를 이 테마파크는 도저히 따라잡을 수가 없었다. 모기업인 주식회사 드림랜드는 경영에 거의 손을 놓았고, 동물들로 피해가 이어졌다. 30여종 200여마리를 관리하는 사육사는 단 한 명이었다. 동물들이 굶어가기 시작했다. ‘긴급구조'를 위해 동물단체인 동물자유연대가 먹이를 공급하고 있었고, 에스비에스 ‘동물농장’에 관련 활동이 소개되기도 했다. 그럼, 과연 크레인은 죽지 않고 남아 있을까?
크레인은 우리에서 혼자였다. 방문객을 모처럼 봐서였는지, 철창 앞으로 다가왔다. 남종영 기자
“구강이 특이하네요. 치료를 안 해서 저렇게 된 것인가 싶었는데, 그쪽 말로는 원래 그렇다고 하네요. 서울대공원에서 왔다고 해요”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가 손수 사진을 찍어 보내주었다. 철망 속의 얼굴이 분간이 안 갔지만, 크레인일 확률은 높아졌다.
“크레인이 아직도 있는 거 같아요.”
황윤 감독에게 함께 가보자고 연락을 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와 당시 동물원 기획을 함께 하고 있었던 전채은 동물을 위한 행동 대표도 함께했다. 추적거리는 비는 그치지 않았고, 안개가 낀 동물원에는 아무도 없었다. 저 멀리서 ‘어흥'하는 소리가 정적을 깨뜨렸다. 치악산드림랜드의 사육사가 말했다.
“이상하게 생긴 호랑이가 있긴 한데… 이름은 크레인, 크레인 맞아요.”
호랑이 한 마리가 두꺼운 철망 속에서 왔다갔다 하고 있었다. 부어오른 얼굴, 튀어나온 엄니. 크레인, 크레인이 맞았다.
동물원 낡은 관행이 탄생시킨 불행한 생명
크레인은 현대 동물원의 문제를 보여준다. 동물원의 과거 관행은 개체수 불리기였다. 동물은 동물원의 재산이다. 일단 번식하고 봤다. 그래야 다른 동물원의 동물들과 바꿀 수 있다. 근친번식도 마다 하지 않았다. 엄마 '선아'에서 태어난 크레인은 그래서 선천적으로 기형이 있었다. 또한 사람 손에서 인공포육 됐다. 동물원에서 사는 어미들이 새끼들을 잘 돌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람 손을 타야 새끼호랑이를 홍보하기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호랑이 같은 맹수는 몸집이 커질수록 홍보 가치가 떨어진다. 게다가 안면기형이 있는 크레인은 그럴 수밖에 없었다. 크레인은 2004년 치악산 드림랜드로 옮겨진다.
크레인의 사연이 다시 알려지면서 여론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동물단체를 중심으로 크레인의 입양처를 알아봤고 인터넷에서는 1만명 넘는 서명이 이어졌다. 결국 서울대공원은 크레인을 다시 데려오기로 결정했다. 최선은 아니지만 최소한의 영양관리와 수의학적 처치를 받을 수 있는 곳은 크레인의 고향 서울대공원이 가장 적합했다. 그해 12월18일 크레인은 다시 자신이 태어난 서울대공원으로 돌아갔다.
<한겨레> 보도가 있은 약 한 달 뒤인 2012년 12월, 크레인은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가 고향은 어두운 서울대공원 동물원 내실이었다. 동물자유연대 제공
2012년은 한국 동물운동 역사에서 뜻깊은 해다. 그해 3월 서울시는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의 야생방사를 선언했다. 제돌이가 만들어놓은 사회적 토양 때문에 크레인도 조명받을 수 있었다. 크레인의 고향행은 인간이 한 동물의 삶의 질에 책임져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주었다. 대다수 동물단체는 동물원 감시운동을 주요 영역으로 삼기 시작했고, 동물원 전문단체인 ‘동물을 위한 행동'이 탄생하면서 전문화도 시작됐다. 2012년은 한국 사회에 ‘동물복지’라는 네 글자가 새겨진 해였다.
고향으로 돌아갔지만 달라진 건 없었다
물론 크레인의 삶이 그 뒤 행복해졌다고 말할 수 없다. 호랑이 사육사 면적의 한계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 갇혀 지냈다. 근친교배와 잡종을 방지하기 위한 근대 동물원의 '종 분리 사육' 원칙은 지켜져야 하지만, 역설적으로 동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드림랜드에 남은 나머지 동물들은 대부분 불행했다. 동물자유연대에 따르면, 유럽불곰은 곰 사육업자에게 넘겨진 뒤 죽은 채 발견됐다. 수리부엉이는 부산 기장군의 한정식 식당으로 팔려가 전시됐다. 드림랜드는 2015년 폐업했다. 크레인은 지난 25일 죽었다. 22일 기력이 쇠해 진료를 받았고 수액을 투여받았지만 죽음을 막을 순 없었다.
크레인은 세상을 바꾸었지만, 본인의 삶은 바꾸지 못했다. 제돌이처럼 야생에도 돌아가지 못했다. 그의 고향은 시베리아나 벵갈이 아니었다. 동물원이었다. 크레인은 동물원에서 태어나 동물원에서 죽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