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임근 기자
[현장에서]
폭설이 내린 21일 오후 ‘새만금 사업을 계속 추진하라’는 항소심 판결이 나오자, 전북도청은 축제 분위기였다. ‘고등법원의 현명한 판단에 감사드린다’는 펼침막이 내걸리고 농악이 울려 퍼졌다. 만세삼창도 터져나왔다.
강현욱 지사는 “국책사업인 새만금 사업의 정당성을 인정받았으므로 더 이상 상반된 주장은 존재할 수 없다”며 “역사적인 이 사업을 통해 환황해권 전진기지로 도약해야 할 것”이라고 흥분된 목소리로 말했다. 삭발 투쟁 등 새만금 사업에 ‘올인’해온 강 지사는 “대안을 주장해온 환경단체의 노력은 이 사업이 친환경적으로 개발되도록 보완조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아야 할 것”이라고 환경단체의 반대투쟁을 의식한 발언도 빼놓지 않았다.
그러나 환경단체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김진태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농지 조성을 목적으로 한 새만금 사업은 설득력이 없다”며 “대법원에 상고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새만금 사업은 1987년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보류 판정을 받았다가 그해 12월 노태우 민정당 대통령 후보의 공약으로 되살아나는 등 논란을 거듭해 왔다. 또 91년 사업을 시작한 뒤에는 ‘개발이냐 환경 보존이냐’를 두고 찬반양론이 끊이지 않았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을 지낸 최형재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은 “이번 판결을 계기로 차분하게 과학적 검증을 거쳐서 ‘새만금 후유증’이 최소화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새만금은 전북도민의 바람이기도 하다. 전주/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