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의 소각장 분포도. 환경부 제공
45명의 주민이 암에 걸리는 피해를 본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소각장 주변에 대한 정부 차원의 건강영향조사가 이뤄진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10일부터 북이면 소각장 주변에 대해 건강영향조사를 한다고 이날 밝혔다. 조사는 충북대 산학협력단(책임자 김용대 교수)이 맡아 올해 12월까지 이뤄지며, 이 지역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물질과 주민 암 발생 등 건강피해 간의 과학적 관련성을 평가하게 된다.
지난해 기준 4773명의 주민이 사는 북이면에는 반경 2㎞ 이내에 3개의 소각장이 있다. 3곳을 합쳐 하루 542t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으며, 최근 우진환경개발이 운영하는 소각장에서 480t 규모의 증설을 추진하고 디에스컨설팅이 91t 규모의 신설을 계획하고 있어 주민 반발이 거세다. 지난해 북이면 주민협의체는 소각장 주변 19개 마을에 대한 자체 조사 결과 최근 10년 새 폐암, 후두암 등 암질환으로 사망한 주민이 60여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청원보건소의 2018년 12월 집계를 보면, 북이면 거주 재가 암 환자는 45명으로 청원구 재가 암 환자(119명)의 22.6%를 차지했다.
지역 주민들은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때문에 암에 걸리는 등의 피해를 보았다며 지난해 4월 원인 규명 청원을 제기했다. 이후 환경부가 전문위원회를 통해 기초조사를 한 뒤 지난해 8월 환경보건위원회를 열어 건강영향조사 청원을 수용하기로 했다. 북이면 규모에 견줘 소각시설이 과밀하고 폐암 등 일부 암 발병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는 이유다. 이후 환경부는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지난해 12월 조사기관을 선정한 뒤 이후 세부 조사계획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들었다. 이어 관련 자료 사전 분석, 주민대표 등이 포함된 민관 합동조사 협의회 설립 등을 거쳤다. 애초 이날로 계획된 건강영향조사에 대한 주민 설명회는 ‘신종 코로나’ 우려로 연기했다.
조사는 크게 환경오염도와 주민건강 두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 환경오염도 조사에선 소각장에서 나오는 다이옥신,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의 유해물질 영향권을 파악해 대기와 토양 오염을 측정한다. 주민건강 조사는 설문, 건강검진, 인체노출평가, 암과 사망 등 건강자료 분석으로 이뤄진다. 조사는 오는 12월15일까지 이뤄지며 정리·분석을 거쳐 내년 2월 결과를 발표한다. 하미나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은 “이번 조사는 소각장 주변 주민을 대상으로 정부가 실시하는 첫 건강영향조사라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