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산업을 육성하는 중심축 구실을 할 원전해체연구소가 지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국무회의에서 '원전해체연구소'를 내년 하반기 착공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법인 설립은 올 하반기 이뤄진다.
정부는 2017년 6월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계기로 원전해체 산업의 육성과 해체기술 실증을 위한 기반시설로 원전해체연구소를 동남권에 설립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연구소 설립 방안 연구, 부지 선정 및 재원분담방안 협의 등을 진행해왔다.
이날 보고된 계획을 보면, 경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원전해체연구소의 본원은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 7만3천㎡ 규모로 지어질 계획이다. 중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분원은 경주시 나아산업단지에 약 2만4천㎡ 규모로 지어진다. 총 사업비는 3223억원이며, 한수원 등 공공기관이 1934억원을 출연해 법인을 설립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1289억원 규모의 장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세계적으로 운영 중인 원전 약 450기 중 운영 연수 30년 이상 원전은 305기(약 68%)가량이다. 정부는 올해 이후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이 본격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 컨설팅 업체인 베이츠 화이트는 세계 원전해체 시장 규모를 549조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 원전 해체실적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 독일, 일본 3개국뿐이며, 총 영구정지 원전 173기 중 해체 완료된 원전은 21기에 불과하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